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dolescents’ Locus of Causality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s Determined by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이용수 8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경재(Kyung jae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4, 784~793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최근 말더듬청소년을 대상으로 인과소를 살펴보기 위한 설문지 형식의 평가도구가 제시되었으나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청소년의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는 치료 중 변화의 지표가 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말더듬 청소년의 평가와 중재와 관련된 임상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문지 형식으로 된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 평가도구 결과가 연령(중학교와 고등학교)과 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내용분석을 이용한 인과소, 행동통제소검사, 의사소통태도검사 등과 같은 다른 평가도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설문지 형식의 인과소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는 총 40명의 일반청소년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형식의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오리진과 폰을 측정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와 일반적인 인과소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행동통제소검사와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II의 의사소통태도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라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효과크기가 중간 정도인 경우가 관찰되었다. 다른 평가도구에서도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중간 정도 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인 경우도 관찰되었다. 더불어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는 다른 평가도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가 타당한 평가도구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중간 정도 크기의 효과크기가 관찰되었기에 이후 임상에서 말더듬청소년을 대상으로 평가와 중재를 진행할 경우 이와 같은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questionnaire-type measure for communication-related locus of causality of adolescents who stutter has been recently proposed.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pply this proposed measure and determine whether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scor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Moreover,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type measure would be determined by comparison with locus of causality scores based on content analysis,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LCB) scores,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scores. Methods: A total of 40 adolescents who do not stutter took part in the current stud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type measure of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In addition, two writing sampl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following content analysis procedures to produce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locus of causality scores. The LCB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scores and other measures’ scor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lthough there was a medium-sized effec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measur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has appropriate validity. In addition, possible individualized differences of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dolescents who stutter.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재(Kyung jae Lee). (2017).Adolescents’ Locus of Causality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s Determined by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4), 784-793

MLA

이경재(Kyung jae Lee). "Adolescents’ Locus of Causality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s Determined by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4(2017): 784-7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