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Survey on Clinical Practicums in Graduate School Departments of Communication Disorders

이용수 9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표화영(Hwa Young Pyo)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4, 837~85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학원 언어치료학과 석사과정에서 시행되는 언어진단 및 재활실습(이하, 임상실습)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통해 대학원 임상실습이 앞으로 나아갈 점을 숙고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원에 언어치료 석사과정이 개설된 전국 27개교의 임상실습 담당교수에게 24개 문항의 온라인 설문지를 링크시킨 이메일을 통해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결과: 27개교 중 25개교에서 회신을 보냈고 이중 21개교에서 임상실습을 시행한다고 하였다. 임상실습 과목은 대개 관찰실습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제3학기에 시작하였다. 임상실습은 주로 교내 실습센터나 학과 협약 언어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임상실습의 대상자군은 언어발달장애군과 조음음운장애군이 가장 많았다. 임상실습은 주로 교과목 담당교수와 외부 언어재활사가 감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기당 평균 1-10명의 실습생을 감독하며 주당 5, 6시간을 감독관련 업무에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학교가 실습 종료 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실습생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대학원 임상실습은 대체로 경험 많은 언어재활사의 감독 하에 다양한 의사소통장애군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취업 중인 실습생의 실습 일정, 감독자의 과중한 업무부담 등의 어려움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학과와 실습생, 감독자 간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clinical practicums in departments of communication disorders in graduate schools and considers how they can be improved. Method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24 questions was sent to 27 graduate schools as an online survey. Results: Of the 25 schools that responded, 21 had clinical practicums in their curriculums. Clinical practicums were usually open to students in their 3rd semester. Most students were trained in practical training centers on campus or speech & language clinics cooperating with academic institutions.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speech sound disorders were the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ums most frequently. Supervisors were usually professors of the schools and/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elonging to an outside institute. They usually supervised 1 to 10 students in a semester and spent 5 or 6 hours on supervisory work in a week. Most of the schools made their students evalu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acticum. Conclusion: Clinical practicums in graduate schools usually involved various patients with different communication disorders and placed students under experienced supervisors. However, there were also some problems, including scheduling for students with jobs and supervisors’ heavy workloads. These issues can be addressed through closer cooperation between faculties, students, and supervisors.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표화영(Hwa Young Pyo). (2017).A Survey on Clinical Practicums in Graduate School Departments of Communic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4), 837-850

MLA

표화영(Hwa Young Pyo). "A Survey on Clinical Practicums in Graduate School Departments of Communic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4(2017): 837-8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