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laborative Inference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Instrument Inference

이용수 14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박예슬(Ye Seul Park) 황민아(Min a Hwang) 고선희(Sun hee Ko)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4, 681~68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정교화 추론은 글을 읽는 과정에서 글의 내용과 읽는 사람의 지식을 통합하는 것으로 이는 글의 표상을 더욱 정교하게 함으로써 글의 이해를 촉진하고, 정보를 기억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이해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정교화 추론 중 도구 추론을 중심으로 그 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 아동 15명과 일반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아동들에게 특정 도구가 연상되는 유도 문장을 읽도록 한 후에 제시되는 글자가 단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이때 유도 문장 후에 제시되는 글자는 유도 문장과 관련된 도구 단어가 제시되는 조건과 관련이 없는 도구 단어가 제시되는 조건으로 나뉘며 각각의 조건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관련 조건과 무관련 조건 간 반응시간에 차이가 없었던 데 반해 일반 아동은 무관련 조건에서보다 관련 조건에서 그 반응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과 달리 도구가 내현화된 문장을 읽으면서 실시간으로 관련 도구를 추론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는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경우 글을 읽는 과정에서 사실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대부분의 자원을 할당하여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은 정보를 부가적으로 처리하는 데는 제한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Elaborative inference is the integration of a text and the reader’s knowledge; it facilitates comprehension and allows readers to more easily learn the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the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 inference (a type of elaborative inference) in poor comprehend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 poor comprehenders and 15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in 3rd to 6th grade.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cide if target words (instrument words) were words or nonwords after reading sentences including the cue to infer instrument while measuring their reaction time. In this lexical decision task, the target words were divided into two conditions: the related condition between sentences and instruments words (related condition) and the unrelated condition between sentences and instrument words (unrelated condition). Results: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reacted faster in the related condition than the unrelated condition; on the other hand, poor comprehend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Conclusion: Unlik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poor comprehenders failed to infer instruments in real time while reading. From this result, it can be explained that poor comprehenders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implicit information while reading texts because they assign most of their comprehension resources to processing the literal information in the text.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예슬(Ye Seul Park),황민아(Min a Hwang),고선희(Sun hee Ko). (2017).Elaborative Inference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Instrument Inferenc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4), 681-689

MLA

박예슬(Ye Seul Park),황민아(Min a Hwang),고선희(Sun hee Ko). "Elaborative Inference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Instrument Inferenc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4(2017): 681-6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