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redicting Word Reading and Spelling in First Graders with Dyslexia

이용수 23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양민화(Min wha Yang) 김보배(Bo bae Kim) 나종민(Jong min R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4, 690~704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초등학교 1학년 난독증 아동들은 입학 직후부터 단어읽기와 철자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이들의 어려움의 원인이 어떠한 초기문해기술(early literacy skills) 발달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24명의 초등학교 1학년 난독증 아동을 대상으로 단어해독, 단어재인, 철자검사를 실시하여 종속변인인 단어읽기와 철자능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예측변인을 알아내기 위해 자모지식, 음운인식, 형태소인식, 철자표기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음운기억, 어휘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예측변인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Markov Chain Monte Carlo(MCMC)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단어해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빠른 자동 이름대기뿐이었으며, 단어재인에는 자모지식만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철자에도 자모지식만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변인이었다. 자모지식의 영향력을 더 자세히 분석한 결과 단어재인에는 자모지식 중에서도 자소이름에 대한 지식이, 철자에는 자음소리에 대한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령기 초기 난독증 아동에게 효과적인 교수내용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predictors of word reading and spelling in first grade children with dyslexia. Methods: Twenty-four first graders with dyslexia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a word decoding test, word recognition test, and spelling test were conducted. Other early literacy skills, including letter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morphological awareness, orthographic awareness, rapid naming, working memory, and vocabulary were measured as predictors of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Multiple regression and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plore predictors of the children’s word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children’s rapid naming score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decoding skill. For word recognition, letter knowledge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among early literacy skills. Letter knowledge was also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spelling ability as well. Because letter knowledg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predictor of young dyslexic children’s reading and spelling abilities, post-hoc analyses was performed. From the post-hoc analyses, it was revealed that letter name knowledge w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word recognition skill, and that letter sound knowledge w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spelling skil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tter knowledge is a critical element for reading and spelling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with dyslexia. In particular, letter names need to be taught explicitly to student who experience difficulty in reading words, and letter sounds need to be taught explicitly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spelling.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민화(Min wha Yang),김보배(Bo bae Kim),나종민(Jong min Ra). (2017).Predicting Word Reading and Spelling in First Graders with Dyslex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4), 690-704

MLA

양민화(Min wha Yang),김보배(Bo bae Kim),나종민(Jong min Ra). "Predicting Word Reading and Spelling in First Graders with Dyslex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4(2017): 690-7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