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굴뚝과 천장」에 나타난 혁명기 대학생의 인물 주체화 방식 - ‘프라이드’와 ‘부끄러움’을 중심으로

이용수 43

영문명
The Method of Subjectific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at Revolutionary in Chimney and Ceiling –Focused on Pride and Shame -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조미숙(Jo, Mi-Sook)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4집, 135~16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4·19 혁명을 다룬 오탁번의 「굴뚝과 천장」에 나타난 1960년대 한국 대학생의 주체화 과정을 통하여 ‘프라이드’와 ‘부끄러움’의 의미영역을 살펴보았다. 「굴뚝과 천장」에는 ‘나’와 ‘그’라는, 이름도 주어지지 않은 두 인물의 삶을 통해 혁명기 대학생의 주체화 과정이 그려진다. 주로 하숙 방이나 강의실을 오가는 ‘나’와 강의실 밖의 삶을 통해 성장하는 ‘그’, 두 사람은 각자 다른 성장을 하게 된다. ‘나’에게 힘, 프라이드는 개인 차원 세속적 성공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그’는 개인의 영달에는 관심이 없었다. ‘나’가 교과 서에 한정된, 지배 이데올로기의 답습 수준에 그치면서 보수적 성향을 갖게 되었다면, ‘그’의 학습 과정은 교과서의 바깥, 매체의 본질이나 지배 이데올로 기에 대한 의문을 탐색하면서 진보적인 가치관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나’가 자신이 지향하는 목표를 위해 주위를 돌아보지 않는 목표 지향적 특성을 보인다면, 학교와 사회, 이웃을 향한 관심을 보이는 ‘그’는 과정 지향적 인물로 볼 수 있다. 두 인물은 공히 부끄러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나’의 부끄러 움은 ‘그’와의 간극에서 비롯되는, 극히 개인적 차원의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그 부끄러움에 임하는 자세가 두 인물의 차이를 보여준다. ‘나’가 리비도적 퇴행 양상을 보이면서 부끄러움을 극대화하는 것이었다면 ‘그’는 죽음의 본능 타나토스적 양상을 보였다. 대학에 입학한 ‘나’와 ‘그’ 모두 소속과 애정에 관한 욕구를 추구하는 수준이어서 ‘나’는 출세에의 욕망, 자기존중의 욕구를 추구하는 데 비해 ‘그’는 자기존중의 욕구로 더 이상 나아가기를 포기한다. 결국 ‘나’의 극한의 부끄러움으로 끝맺는 이 작품에서 작가는 역사 앞 개인의 문제를 화두로 던진다. 유신정권 하 4·19의 직접적 호출이 어려웠던 시기 이작품이 다루는 ‘부끄러움’은 하나의 환유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domains of pride and shame through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e 1960s, which appeared in Chimney and Ceiling. For the I , if power was in secular success, for him it was social. The two characters go through different processes of subjectification. I usually grow up in a room or a classroom, and he grows out of the classroom. If the I has a conservative tendency at the level of the ruling ideology limited to the textbooks, the learning process of him will have a progressive value while exploring the question of the nature of the medium and the dominant ideology outside the textbook. If I shows goal-oriented characteristics that do not look around for the goal that he is aiming for, he can be regarded as a process oriented person who is interested in school, society and neighbors. Both characters have shame. In particular, the shame of I can be seen as a very personal dimension, resulting from the gap with him . Furthermore, the attitude of attending the shame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haracters. If I were to maximize shame by showing a libido regressive pattern, He showed the instinctive aspect of death. As I entered college, I and I both pursue our desire for belonging and affection, so I pursue desire for success and desire for self-esteem. I will give up. The author seems to be unfolding the problem of the individual in front of history through the metonymy of shame in the direct call of 4.19 under the Yushin regime.

목차

1. 서론 : 4·19 혁명과 오탁번의 「굴뚝과 천장」
2. 「굴뚝과 천장」에 나타난 ‘프라이드’와 ‘부끄러움’의 의미 연구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미숙(Jo, Mi-Sook). (2017).「굴뚝과 천장」에 나타난 혁명기 대학생의 인물 주체화 방식 - ‘프라이드’와 ‘부끄러움’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44 , 135-163

MLA

조미숙(Jo, Mi-Sook). "「굴뚝과 천장」에 나타난 혁명기 대학생의 인물 주체화 방식 - ‘프라이드’와 ‘부끄러움’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44.(2017): 135-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