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주택자산효과

이용수 188

영문명
Socioeconomic Profile and Housing Wealth Effects of Home-owning Single Parent Families
발행기관
한국부동산학회
저자명
이현정(Lee Hyun jeong) 윤정득(Yoon Jung duck)
간행물 정보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70輯, 221~23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하고 가구주 성별에 따른 자가소유 가구의 주택자산효과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노동패널데이터(KLIPS) 1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241 한부모 가구를 대상으로 주택점유형태와 가구주 성별에 따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살펴보고, 자가를 소유한 남성 및 여성 가구주 한부모 가구의 주택자산의 소비탄력성을 연령층, 거주지역, 주택유형, 자산대비부채비율 등에 따른 주택자산의 소비탄력성을 로그회귀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차가와 자가소유 간의 자산규모 차이를 심화시킨 요소는 주택자산이었고, 자가소유 가구의 총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다. 주택자산효과는 남성 및 여성 가구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주택자산의 소비탄력성은 남성가구주 보다 여성가구주에게 더 높았다. 특히,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는 비수도권 지역의 아파트에 거주하고 부채비율이 낮은 장·노년층에서, 그리고 남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는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청·중년층 가구에서 주택자산효과가 두드러졌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ocioeconomic profile of single parent families and to explore their housing wealth effects. Also, the consumption elasticity is measured between gender of householders(male vs. female), age cohorts(younger than 50 years vs. ≥50), region(Seoul Metropolitan Area vs. non-SMA), housing structure type (apartment vs. non-APT), and debt-to-asset ratio(less than 25% vs. ≥ 25%). (2) RESEARCH METHOD Using the 18th Korean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is research analyzed 241 single parent families including 106 homeowners, and the data were transformed by utilizing the logarithm function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housing wealth on non-durable consumption by gender and age of householders, region, housing structure type and household liability. (3) RESEARCH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housing wealth effec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home-owning single parent families, and are stronger for female-headed households than does male-headed counterpart. Further, the consumption elasticity is much greater for households headed by women aged 50 years and older, living in non-SMA, residing in apartments and holding a lower debt-to-asset ratio. 2. RESULTS The empirical findings reveal that housing wealth is the largest and most important item in wealth portfolio of single parent families and housing wealth effect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gender and age of the householders, region and housing structure type. Regardless of gender of householders, single parent families have socioeconomically vulnerable, and it’s striking that debt makes up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wealth portfolio. Thus, it’s clear that owning a home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to wealth creation/accumulation and a source of liquidity, which enable them to maintain a stable life, reduce financial anxieties and prepare for future contingencies.

목차

한부모가구;사회경제적 특성;가구주 성별;주택자산;자산효과;자가소유;Single parents;Socioeconomic Profile;Gender of householder;Housing wealth;
Wealth effect;Homeownership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정(Lee Hyun jeong),윤정득(Yoon Jung duck). (2017).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주택자산효과. 부동산학보, 70 , 221-235

MLA

이현정(Lee Hyun jeong),윤정득(Yoon Jung duck).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주택자산효과." 부동산학보, 70.(2017): 221-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