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수정요구권과 권력분립
이용수 288
- 영문명
- The Crisis of the Separation of Powers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진영(Park, Jin-Yeong)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51권 제4호, 99~13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회가 2015. 5. 29. 본회의에서 통과시킨 국회법 개정안(의안번호 1915336)은 상임위원회로 하여금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제출한 대통령령・총리령・부령 등 행정입법이 법률의취지 또는 내용에 합치되지 아니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수정・변경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실상 국회에 행정입법에 대한 수정・변경권을 부여하였다.
이는 국회가 행정입법에 대한 직접적 수정권한을 가질 수 있는지의 문제, 그것이 헌법상권력분립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가라는 핵심적 쟁점을 안고 있다. 이에 대하여 헌법상 권력분립질서를 손상시키는 위헌적인 입법이라는 주장과, 궁극적으로 입법권은 국회에 속하고 행정입법은 국회가 위임해준 범위 내에서 가능하므로 권력분립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대립하였다.
국회가 행정부에 행정입법을 위임함에 있어 기본적으로 입법자는 수권 법률로 말해야 할뿐, 행정부에 대하여 사후적으로 수권의 취지에 반한다는 이유로 직접 수정을 명령하는 것은 헌법 제75조, 제95조에 위배되는 것으로서 헌법상 권력분립의 원칙에 반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국회법에 일반조항을 규정함으로써 국회에 광범위한 행정입법 수정요구권을 부여하는 것은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한을 무력화시키고, 국회 본회의의 의결권을 침해하는 것으로서,헌법 제53조에도 반한다.
행정입법권에 대한 법원의 규범통제권이나 헌법재판소의 헌법소원심판권이 구체적 사건성을 띤 경우에 한하여 행정입법의 위헌・위법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사건성을 띠기 전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국회의 수정요구권과는 성질이나 차원이 다른 제도라 할 것이어서 법원의 명령・규칙 심사권을 침해한다고까지 보기는 어렵지만, 사법부의 유권해석에 사실상제약을 가하고 사법부의 행정입법 통제권한을 실질적으로 상당부분 잠탈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될 것이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행정입법에 대한 사법적 통제가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우리나라도 국회에의한 행정입법 통제의 확대・강화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방식은 현행헌법상의권력분립원칙의 골격을 흔드는 것이어서는 곤란하며, 기본적으로 사전적 통제수단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사후적 통제수단으로 설계되더라도 행정입법의 국회 보고 및 그에 대한 국회의 의견 제출을 넘어 국회가 행정입법을 사후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수정명령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n May 29, 2015, Korean National Assembly passed a revision bill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allowing the legislature to demand the executive to amend certain kind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such as presidential decrees, ordinances of the prime minister, departmental ordinances in case that administrative legislation are not accordant to the legislation. The revision bill practically empowered the National Assembly to modify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is means the National Assembly can have authority to amend administrative legislation if it does not accord with legislation, the bottom line is whether it is a breach of the separation of powers or not. The schola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 the issue. One argued the revision clause is unconstitutional because it violates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other insisted the amendment is constitutional since Congress ultimately has the power of legislation, and the executive can make administrative legislation within the ranges of deleg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revision bill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above seems unconstitutional.
Mostly, it is against the separation of powers doctrine. It violates the article 75 and 95 of the Korean Constitution.
Next, The legislative veto in the revision bill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violates the Presentment Clause, the article 53 of the Korean Constitution, because it make legislation omit the presentment to and the review by the President. The action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s legislative in nature because it has an effect to modify legislature. The presentment clause and the presidential veto clause specifically stated by the Constitution for legislative action must be strictly observed in the enactment of law.
Moreover, the legislative veto in the case violated the Legislative Proceedings Clause because it was exercised solely by the Committee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Moreover, the power to enact laws must be exercised by the Congress as expressly stated by the Constitution, the power to require the amendment of certain executive agency rules should not be exercised by a committee of the Congress but by the gener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it is very limited possibility of judicial review 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we need to enlarge the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by the Congress. But the method should be basically precontrol method. If it is designed as a postcontrol system, it should not exceed the repor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by the executive branch and submit a comment by the Congress to the executive.
목차
l. 들어가는 말
ll. 국회에 의한 행정입법 통제제도의 도입과 발전
lll. 국회의 행정입법에 대한 직접적 통제의 가부
lV.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탁금지법의 적용과 사회상규
- 법조비리 근절방안 모색
-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에 관한 연구
- 업무상 과로나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과 업무상 재해
- 미국과 한국의 판사기피제도
- 협동조합연합회의 회원자격에 관한 법적 검토
-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으로서 사업활동방해의 ‘부당성’요건에 대한 대법원 판례 분석
- 아동학대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연구
- 발 간 사
- 사내하도급·불법파견 판단의 법경제학적 이해
- 소비자집단분쟁조정제도에 관한 고찰
- 반대주주 주식매수청구권의 기능에 관한 경제학적 검토
- 독일법상 문화재·미술품의 영구대여에 관한 소고
- 변호사과오소송에 있어서 ‘승소가능성’에 관한 소고
- 판례에 나타난 배임죄의 손해 판단기준에 대한 검토
- 자원순환기본법의 제정 의미와 폐기물법제의 향후 과제
-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수정요구권과 권력분립
-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사업자의 무과실책임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보험법연구 제18권 제3호 목차
- 타인을 위한 생명보험에서 보험계약자의 채권자와 보험수익자 간의 이해조정 -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19다300934 판결
- 설명의무 - 보험소송의 도박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