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唯識의 지평에서 본 물질의 본성

이용수 161

영문명
The True Nature of Matter from the Prospect of vijñapti-mātra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백진순(Baek Jin Soon)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7輯, 323~3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唯識의 교의 안에서 ‘有對色’, 즉 질애를 가진 물질의 본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유식논사들은 이른 바 極微란 實色(실재의 물질)이 아니라 假法(가립된 개념)이고, 우리의 五識에 알려진다고 간주되었던 ‘극미로 이루어진 유대색’이란 ‘識所變의 相’, 즉 식이 변현해낸 형상이라 말한다. 이처럼 식소변으로 조정된 물질이란 ‘직접 지각되는 대상들’ 혹은 ‘내용들’로서만 실재하는 것이다. 그런데 唯識說 안에서 五識뿐만 아니라 阿賴耶識도 現量적 인식(직접 지각)으로 간주되며, 이 두 종류 식에 의해 직접 지각된 대상들은 두 가지 층위의 물질세계를 이룬다. 오식에는 특정한 시공간적 위치에 놓인 대상의 단편적 相들이 순차적으로 알려지며 간혹 끊기기도 하지만, 반면 아뢰야식에는 극히 미세하고 광대한 境界의 相 전체가 단박에 한꺼번에 알려지며, 그 상들은 살아있는 한 지속적으로 주어진다. 이와 같은 두 종류 識의 경계 간에 本質과 影像의 관계가 성립한다. 즉, 五識은 阿賴耶識에 현현된 무차별적 경계(=本質)에 의지해서 다시 影像을 변현해낸 후 그것을 인식대상으로 삼는다. 나아가 유식논사들은 중생들이 모두 사라진 壞劫ㆍ成劫에도 器世間은 존재한다는 교설을 유식의 교의 안에서 정당화함으로써 이 세계에 ‘가능한 최대한으로’ 보편성과 지속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most ambiguous issue to understand in the doctrine of vijñapti-mātra 唯識, that is, the true nature of “the resistant rūpa 有對色”. The scholars of Mind-only school examined the criticisms on the theory of atom 極微說 by the Hinayana. Their reviews brought a new perspective which substituted the existing conventional idea, “Collected atoms make a matter and it lets our five consciousness know”. According to this theory, atoms are not the true matter but the assumed concept. What lets our five consciousness know is not the “matter composed by atoms””, but the form manifested by the consciousness 識所變”. From the point of this consciousness transformation’s view, it can be said that matter exists only as the directly perceived object or the content by the five consciousness. However, the cognitive ways of the five consciousness and the Ālaya-vijñāna 阿賴耶識 are all the direct perception 現量 of indiscretion 無分別. The followings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terial worlds directly recognized by these two kinds of consciousnesses. Fragmentary images of the object on the place of the specified spatial time become known to the five consciousness and sometimes come to a pause. On the other hand, the whole of forms on the vast boundary, which are so delicate, not able to be obviously detected, become known and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Ālaya-vijñāna 阿賴耶識 until they are aliv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etype 本質 and the image 影像 can be established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five consciousness and the Ālaya-vijñāna. So to speak, the five consciousness transforms the image of an object based on the form of the indiscriminate boundary known to the Ālaya-vijñāna and then recognizes it. This physical world of Ālaya-vijñāna is divided largely into internal body and external receptacle-world 器世間. And the receptacle-world is the objective world which lets others’ consciousness know mutually. As the scholars of Only-mind school justified the doctrine that this world would be existent even at the time of the Kalpa of destruction 壞劫 when all the sentient beings were disappeared or at the time of commencement 成劫, they gave a meaning of durability ‘as long as possible’ to the receptacle-world.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 부파불교의 물질관에 대한 비판
Ⅲ. 識所變으로서의 물질의 본성과 층위들
Ⅳ. 器世間의 공유와 지속에 관한 논쟁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진순(Baek Jin Soon). (2017).唯識의 지평에서 본 물질의 본성. 동양철학, 47 , 323-351

MLA

백진순(Baek Jin Soon). "唯識의 지평에서 본 물질의 본성." 동양철학, 47.(2017): 323-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