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Word Decoding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이용수 54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배소영(So yeong Pae) 신가영(Ga young Shin) 설아영(Ah young Seol)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2, 272~28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 이 연구는 한국의 발달성 난독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단어해독력과 읽기유창성이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으로 가면서 일반아동과 비교해 어떤 발달 특성을 보이는 지 살펴본다. 방법: 초등 저학년 20명, 중학년 18명, 고학년 20명의 발달성 난독 아동과 학년, 지능, 듣기이해력이 일치되는 일반학생이 참여하였다. 단어해독 의미 유무와 자소-음소 일치도를 고려한 KOLRA 해독 검사 및 문단글읽기 하위 과제를 개별적으로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발달성 난독 아동은 단어해독의 경우, 초등 저학년에서 격차가 가장 컸고, 초등 고학년으로 가면서 격차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무의미낱말에서 더 큰 어려움이 관찰되었다. 유창성의 경우 10초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는 일반아동과의 격차가 계속 유지되었으나, 오류 음절율로 보았을 때 일반아동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경향도 관찰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 발달성 난독 아동들도 음운 해독에서 약점을 보였고 저학년의 경우 무의미낱말해독에서 약점이 나타나 언어보편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읽는 속도에서의 차이도 한국의 발달성 난독 아동들에게 약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므로 단어나 덩이글 읽기 속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음운성 및 표면성 난독증과 PA, RAN, 자소지식, 형태소인식력이 한국 발달성 난독아동의 해독력 및 읽기유창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word decoding ability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Dyslexic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s among three grade group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Fifty-eight DD (20 early, 18 middle, and 20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ers) as well as 58 TD matched by grade, nonverbal intelligence,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child read an 80-part list, composed of 40 words and 40 nonwords, along with one grade-level text. Words and nonwords included 20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GC) words as well as 20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PGNC) words. Results: Both DD and TD had higher performance on words and PGC words than nonwords and PGNC words. DD revealed a large gap in both word and text reading when compared with TD, although the gap between the two reading groups was narrower as grades got higher. However, DD showed a bigger gap in reading nonwords compared to meaning words. As for text reading fluency, DD took a longer time and read less accurately compared to TD, although the gap between DD and TD in error rate of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in the texts was narrower as grades got higher. Conclusion: It seems evident that Korean DD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phonological decoding of new and novel words and in reading text fluently despite the relative consistency of Korean Hangeu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nd possible subtypes of dyslexia in relation to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 orthographic knowledge, and morphological awareness.

목차

Abstract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소영(So yeong Pae),신가영(Ga young Shin),설아영(Ah young Seol). (2017).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Word Decoding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2), 272-283

MLA

배소영(So yeong Pae),신가영(Ga young Shin),설아영(Ah young Seol).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Word Decoding and Text Reading Fluency among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2(2017): 272-2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