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 제목 양상 고찰

이용수 122

영문명
A Study of aspects of Sijo title in Daehanmaeilsinb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강재헌(Kang Jae heo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92輯, 129~15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개화기를 거쳐 현대 시조로 이어지는 시조사의 보완을 위한 선험적 연구로 개화기 시조특히≪대한매일신보≫에수록된작품들을살피는시도이다. 그 가운데서도기존의 시조에서 볼 수 없었던 제목 제시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전의 시조 작품에서 연시조를제외하고제목을지닌작품은거의없다. 또한단편작품에제시된제목의경우도후대에 부회된 경우가 대다수이다. <단심가>, <반중조홍시> 등이 이러한 예이다. 그런데 ≪대한매일신보≫에 수록된 시조들은 이전 작품 패러디나 개별 창작의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제목이 붙어 있어 주목된다. 필자는 이러한 제목 창출 양상에서 ≪대한매일신보≫에서 시조 창작과 발표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인물들의 의식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것은 개화성이라는 거시적 주제의식과는 다른 시조를 바라보는 당대인의 문학성을 개관하는 미시적 단계라 할 것이다. 거시성을 지니는 개화기 문학 연구는 고전과 현대를 아울러 상당히 진척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그안에서의 미시적 문학성이 의미축소되고 있음도간과할 수없는 부분이다. 본고는 거시성에 기반을 둔 미시성을 살피는 구체화 작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첫 장에서 제목의 유형을 데이터화하여 내용적·형식적 두 유형으로 나누었다. 전자는 다시 전체 주제형과 일부 발췌형으로 세분하였다. 형식적 유형은 표기체화 장르 교섭으로 나눌수있었다. ≪대한매일신보≫의이제목제시에드러난양상을살피기위하여연구자는두 인물금혜와 신채호에주목하였다. 두사람은 각각의시론을신문에싣고있고주도적 역할을 한 인물이어서 그들의 주장은 특별할 수밖에 없다. 금혜는 시가가 개량되어야 한다는 주도적 주장을 제기하였고 그가 변개한 작품들을 통하여 작가 의식을 담아내고 있다. 신채호도천희당시화에서시가가나갈방향을제시하고있었다. 그런데둘의모습은여말선초의유학자들이고려가요의개량을요구한것과닮아있다. 그러므로이러한두사람의주장이바로 당대시조작가의식이며그것이제목에도투영되었음을확인할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ttempts to study Sijo published on Daehanmaeilsinbo as a pilot research to complement the history of Sijo between the period of 1876-1910 and modern times. Of the Sijos belonging to the era, I focused on the aspect of how titles were given to the literary works. Before this era, the majority of Sijo had no titles with the exception of the Yeonsijos. In addition, many short literary works had their titles given by posterity. Danshimga and Banjungjohongsi are examples of this practice. The Sijos published on Daehanmaeilsinbo garner attention because all works were titled, regardless of being either a work of parody or an original one. Keeping this titling practice in mind, I intend to explore the mindset of the writers who had leading roles in Sijo writing and its publishing on Daehanmaeilsinbo. This will become a study that overviews the literary value of the minority who focused on Sijo, which was set apart from the major literary theme of the time, the enlightenment. It is true the studies focusing on the major literary topic of the period of 1876-1910 has grown as much as the study of traditional and modern literature.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e other, minor literary topics of the era have been overlooked in their literary values. This thesis will become part of the specifying process that explores the minor topics of the era based on the mainstream themes at the time. In the first chapter we made data according to the title type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contents type and form type. The former was again divided into title type and excerpt type, while the later was divided into notation and genre negotiation. To analyze the titling ractice at the time the researcher focused on Geumhye and Shin Chaeho. Both men each individually published their poetic theory on the paper and had a leading role, which makes their statements inevitably unique. Geumhye overly asserted that poetry must be innovated and expressed his aesthetics as an author through the works he had made modification. In Cheonheedangsihwa, Shin Chaeho had also suggested direction Sijo must take. It is to be noted, these two approaches resembles the way the Confucian Scholars demanded the renovation of Goryeo Gayo in the late Kory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fore,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ssertion of these two men reflected the Sijo writer’s consciousness of the era and that their titles also reflected these thoughts.

목차

1. 서론
2. 제목 유형
3. 작가의식
4. 시가사적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재헌(Kang Jae heon). (2017).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 제목 양상 고찰. 어문연구, 92 , 129-153

MLA

강재헌(Kang Jae heon). "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 제목 양상 고찰." 어문연구, 92.(2017): 129-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