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업참여 프로파일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

이용수 1091

영문명
A longitudinal change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and achievement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유신복(Yu Shin-bok) 신이나(Shin Yina)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5호, 1329~13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지닌 수업참여를 개인 중심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특성과 학교 급의 이동에 따른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전이 및 이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2012년), 고등학교 2학년(2014년) 학생들에게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총 9,563명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수업참여의 프로파일은 동일하게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즉, 모든 수업참여 경향이 가장 낮고, 특히 인지적 참여가 매우 낮은 프로파일인‘인지적결핍형(중3, 고2: 2.8%, 2.7%)’, 수업참여의 모든 하위요인이 평균이하를 나타낸 ‘낮은참여형(중3, 고2: 31.0%, 27.0%)’, 수업참여의 하위요인이 모두 높게 나타난 ‘높은참여형(중3, 고2:8.3%, 7.7%)’ 그리고 수업참여가 모두 평균수준을 나타낸 ‘평균참여형(중3, 고2: 57.8%, 62.6%)’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수업참여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 양상은 수업참여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53%의 학생들은 프로파일을 이동하여 안정적이기 보다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참여의 가단성을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이 양상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수업참여의 향상은 학업성취도에 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longitudinal study is to identify features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as consisting of multiple distinguishable features, including behavior, emotion, and cognition using person-centered approach and to identify transition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and the dfference of achievement according to transition patterns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Survey data and achievement scores were obtained from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database. The NAEA date includes samples of 9th grader, and 11th grader from all over the country. Our final sample was 9,563 students. B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four classes of students were equally identified across middle and high school: relatively cognitive disengagement group(middle schooler: 2.8%, high schooler: 2.7%), low engagement group(middle schooler: 31.0%, high schooler: 27.0%), high engagement group (middle schooler: 8.3%, high schooler: 7.7%), moderate engagement group (middle schooler: 57.8%, high schooler: 62.6%). Second, pattern of achievement depending on student engagement profile was the following. the higher engagement was, the higher achievement was. Third, malleability of student engagement variance was confirmed. student engagement profiles showed a little bit change rather than stability. Finally, to explore the features of the latent transition and stability, their relationships with achievement were compared. the high engagement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신복(Yu Shin-bok),신이나(Shin Yina). (2015).수업참여 프로파일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 교육평가연구, 28 (5), 1329-1355

MLA

유신복(Yu Shin-bok),신이나(Shin Yina). "수업참여 프로파일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 교육평가연구, 28.5(2015): 1329-13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