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향상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이용수 527

영문명
An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to Classifying Change Trajectory of School Achievement Improvement of General High School and Testing Determinants of the Classifi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정송(Song Jung) 신명호(Myungho Shin) 이영리(Young Ri Lee)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5호, 1277~129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교 향상도 변화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을 교과별로 도출하고 분류의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국어에서는 ‘저수준집단’,‘유지집단’, ‘고수준집단’의 3개 잠재집단이, 수학과 영어에서는 ‘저수준집단’과 ‘고수준집단’의 2개 잠재집단이 확인되었다. 영향 요인 검증 결과, 국어는 학교 성별, 학교 유형,학교 풍토가, 수학과 영어는 학교 성별, 학교 유형, 학교 풍토, 학교생활 행복도가 잠재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성별의 경우 교과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반면 모든 교과에서 사립학교와 학교 풍토가 좋을수록 높은 향상도를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심리적응도와 교육환경만족도로 구성된 학교생활 행복도는 요인에 따라 효과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높은 심리적응도 수준을 보이는 학교일수록 매해 기대되는 점수보다 실제 성취 점수가 낮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교육환경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해 매해 기대되는 점수보다 실제 성취 점수가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교육의 효과성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정책 수립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chool Achievement Improvement’ refers to the index for evaluating accountability of school education and presents information on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n be enhanced by the efforts which a school puts into its students when encompassing all components related to school education.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School Achievement Improvement change for 4 consecutive years by 3 subjects, Korean, Math, English, and to test its determinants including school gender, school type, school region, teacher-specific schooling climate, degree of happiness of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level class’, ‘stay-level class’, and ‘low-level class’ were identified in Korean while ‘high-level class’ and ‘low-level class’ were discerned in Math and English. Even though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classification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among the subjects, school type and teacher-specific schooling climate are analyzed to influence the classification across the subjects, indicating that private schools and schools with positive teacher-specific schooling climate have high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high-level class. In Math and English,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atisfaction which consisting of the degree of happiness of school life showed contrasting effect. Schools with high psychological adaptation are likely to fall into the low-level class while there is high chance of being the high-level class to schools with high educational environment satisfaction. Based on findings from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school-education-related decision making processes to maximize school accountability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송(Song Jung),신명호(Myungho Shin),이영리(Young Ri Lee). (2015).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향상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교육평가연구, 28 (5), 1277-1299

MLA

정송(Song Jung),신명호(Myungho Shin),이영리(Young Ri Lee).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향상도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 검증." 교육평가연구, 28.5(2015): 1277-12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