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몽주와 유몽인의 중국인식 비교

이용수 252

영문명
A Comparison of the Views of Jeong Mong-Ju and Yu Mong-In on China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손지봉(Son, Ji-Bong)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17집, 211~24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정몽주와 유몽인의 중국인식 비교를 통해 중국인식의 차이를 밝히려는 논문이다. 정몽주는 6차례나 중국을 방문한 중국 전문가이다. 정몽주의 시대는 국내적으로는 고려와 조선이 교체되던 시기이며, 중국은 원명교체기였으므로 외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당시 정몽주는 저물어가는 고려의 사신으로 새로 일어서는 명과의 관계를 정립해야 하는 입장이 었다. 유몽인이 살았던 시기 역시 중국은 명청교체기였으며, 조선은 임진왜란이라는 초유의 전쟁을 겪은 시기였다. 그러나 유몽인은 문인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했으며, 개성이 강한 인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유몽인의 중국에 대한 경험은 사행 뿐만 아니라 조선에 입경한 중국인과의 교류도 이루어졌으며, 문집뿐만 아니라 야담이라는 문헌설화를 통해서도 중국 및 중국인에 대한 체험을 기술한 점 등이 정몽주와는 다른 점이다. 일반적으로 외국을 체험할 때 인물과 풍속의 차이에 주목하기 마련인데,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중국의 경우 한자문명권이면서 문명중심국이었기에 문장요소에 대해서도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중국의 ‘풍속’과 ‘문물’, ‘인물’은 물론 ‘문장’ 등에 대한 정몽주와 유몽인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정몽주는 외교관의 입장에서 중국의 인물에 대해서는 ‘비판’을, 중국 수도의 번화함에 대해서는 ‘부러움’을, 중국과 같은 문자를 쓰는 점에 대해서는 ‘동질감’을, 중국의 이국적 풍물에 대해서는 ‘관조(觀照)’의 입장을 취했다면, 유몽인은 문화 중심국으로 중국을 인식하고 어우집에서는 특히 문물의 발달에 대해 부러움을 보였으며, 다른 요소에 있어서는 관조의 태도를 보였다. 어우야담에서는 중국의 옛 제도를 중시하는 입장에서 현재 중국의 풍물은 비판하되 중국의 역사적 인물과 문장에 대해서는 극단적인 추숭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정몽주는 중국 성리학을 전폭적으로 수용한 인물이며, 유몽인은 방외인적 입장을 견지한 인물로 평가되지만 중국인식 양상을 볼 때 정몽주는 보다주체적인 입장에서 상대국으로서의 중국을 인식했다면, 유몽인은 문화와 문 명의 중심이며, 조선을 도와준 은혜의 나라로 중국을 인식할 정도로 중국에 경도된 인식을 보여준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shed light on the differing views of Joseon literati Jeong Mong-ju and Yu Mong-in on China. While Jeong contributed to establishing Goryeo’s relations with Ming Dynasty as an envoy of Goryeo during the transition from Yuan to Ming, Yu liv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Imjinwaeran)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ng to Qing and expressed his perceptions of China both in the collections of his works and unofficial historical tales. Traveling abroad, one gets to focus on local “people” and “custom.” In those days, travelers also took interest in the “civilization” and “literature” of China that was the center of East Asian civilization. This study compares Jeong and Yu in those four aspects by looking into Jeong’s Poeunjip and Yu’s Eoujip and Eouyadam. As a diplomat, Jeong took the position of “criticizing” the people of China, of “envy” for the splendor of Chinese capital, that of “homogeneity” in regard to the use of the same Chinese letters, and that of “contemplation” for the exotic institutions and customs of China. In his collection of writings Eoujip, Yu expressed his envy for the developed civilization of China and showed an attitude of contemplation toward the kingdom’s other elements. In his Eouyadam, he criticized the current institutions and customs of China by placing importance on practices that preceded them and adopted an attitude of extreme worship for the historical figures and literary works of China. While Jeong fully embraced the Neo-Confucian beliefs of China, Yu maintained his position as an outsider. This paper's comparison of their perceptions of China shows that Jeong perceived China from a more independent standpoint, whereas Yu worshiped China so much that he considered China as the center of culture and civilization and as a country that was in a higher position, to hold Joseon in favor.

목차

1. 문제제기
2. 정몽주의 중국인식
3. 유몽인의 어우집에 나타난중국인식
4. 유몽인의 어우야담에 나타난 중국인식
5.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지봉(Son, Ji-Bong). (2016).정몽주와 유몽인의 중국인식 비교. 포은학연구, 17 , 211-242

MLA

손지봉(Son, Ji-Bong). "정몽주와 유몽인의 중국인식 비교." 포은학연구, 17.(2016): 211-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