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세기 도통론의 전개와 포은 정몽주의 위상

이용수 407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 Orthodoxy and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포은학회
저자명
이경동(Lee, Kyungdong)
간행물 정보
『포은학연구』제17집,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포은 정몽주는 중종 12년(1517) 문묘에 종사되면서 도학의 조종(祖宗)으로서 위상을 공인받았다. 문묘종사 이후 16세기 전반에 걸쳐 사림은 정몽주의 위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강화하면서 조선 사회만의 도통론을 체계화하였다. 16세기에 정몽주는 절의를 중심으로 학문과 그에 수반된 실천들이 강조되며 도통의 조종으로 정립되었다. 또한 정몽주는 기자에서 시작되는 동방의 도통을 회복한 인물로서 상징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당대 사림들은 조선사회의 도통을 확보하고 사림의 정치적․사회적 명분을 강화하였다. 16세기 정몽주에 대한 사림의 추숭은 문묘종사․서원건립․시문(詩文)등의 기록물․출판활동 등을 통해 점차 확대되어 갔다. 특히 이러한 사업들은 16세기 후반 사림정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선조대에 집중적으로 추진 되었다. 17세기 초에는 5현이 문묘에 종사되면서 조선의 도통론은 국가 및 사회적으로 공인을 받게 되었다. 16세기의 도통론에 입각한 정몽주에 대한 위상은 단순히 그 시대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이후에도 정몽주에 대한 이해는 조선후기에도 통용되었다. 특히 17세기 심화된 성리학적 의리론과 함께 정몽주는 도통을 기반으로 화이론과 관련된 시대적 흐름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는 17세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이 16세기를 계승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처해진 현실에 따라 재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은 현재까지 정몽주가 절의 및 동방 도통의 조종(祖宗)으로 인식되는데 주요한 역할 을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ows that how Poeun Jung Mong-Ju established his Neo-Confucian images and acknowledged influence of Neo-Confucian orthodoxy(道統)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The influence of Poeun Jung Mong-Ju was established a symbol of fidelity toward royal family, since he died augustly for his filial fidelity in the 15th century. In their speeches and writings produced by literati-scholars in the 16th century noted that Jung Mong-Ju was known as not only a “liege man” to keep filial fidelity but also a “founder” of Korean Neo-Confucianism. Moreover, they directly linked him into Jizi(箕子), legendary sage from end of Shang dynasty(c.1100 BC). At that same time, public and private persons urged toward primary enterprises to commemorate Jung Mong-Ju’s remarkable achievements. On the preferential basis, literati-scholars established seowon, Neo-Confucian private academies, for venerating the scholar Poeun and educating rural students. The number of seowon venerating Poeun Jung Mong-ju were five, established between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These seowon were established in the region related to the venerated scholar, except for one, which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rural literati. Five seowon were dedicated to venerate the scholar: forming rituals and writing literary works. The government also gave privilege to his descendents, such as exemption from taxation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addition, king Seonjo commanded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Poeun Jung Mong-Ju. In the 17th century, the influence of Poeun Jung Mong-ju was expanded with the Cause of Justice theory(義理論). Song Shi-Yeol,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reviewed the studies of former masters of the master Jung with the Cause of Justice theory. He indicated Poeun Jung Mong-ju as a symbol of resistance and Neo-Confucian orthodoxy. These perspectives reveals that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was originated from the 16th century.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in the 16th century has continued to influence up to the present.

목차

1. 머리말
2. 16세기 포은 정몽주에 대한 인식 변화
3. 추숭 사업을 통한 포은 정몽주의 위상 강화 노력
4. 포은 정몽주의 위상 확립과 후대의 영향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동(Lee, Kyungdong). (2016).16세기 도통론의 전개와 포은 정몽주의 위상. 포은학연구, 17 , 5-31

MLA

이경동(Lee, Kyungdong). "16세기 도통론의 전개와 포은 정몽주의 위상." 포은학연구, 17.(2016):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