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校正廳本『書經諺解』의 존대법

이용수 113

영문명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in the Gyojeongcheon Versions of 『Seogyeong Eonhae』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유영옥(Yu Young O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4輯, 283~3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宣祖 18∼21년에 편찬된 校正廳本 『小學諺解』와 四書三經諺解는 조선전기 경서언해의 최종 산물이다. 교정청본 경서언해서는 序ㆍ跋文이 없기에 어떤 원칙에 의해 언해되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존대법 구사 방식을 잘 살펴보면 교정청의 언해 원칙을 일부나마 유추할 수 있다. 교정청본 사서언해는 儒家 道統論을 존대법 구사의 가장 핵심적인 원칙으로 상정했지만, 교정청본 『서경언해』는 儒經이자 史書라는 이중적 성격 때문에 上古의 史官이 당대사를 서술했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강조되어, 상황 논리에 입각한 존대법 원칙이 제일 중요하게 적용되었다. 이는 교정청본 『서경언해』와 사서언해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따라서 『서경언해』는 堯舜三代의 여섯 聖君은 물론이요, 그 밖의 天子에 대해서도 대개 그 言事에 높임말을 사용하였고, 아울러 道統을 포함하는 正統論에 입각하여 周公과 箕子도 존숭하였다. 즉 교정청본 『서경언해』는 상황 논리에 우선하되 성리학적 정통론도 부차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영문 초록

Published between the 18th and 21st years of King Seonjo's reign, the Gyojeongcheong versions of annotated Confucian scriptures are the last outcome from the annotation of such Confucian classics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s still uncertain what is the principle of annotation that those versions used. However, that principle may be partially clarified if we examine how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was used in the publications. The Gyojeongcheon version of Saseo Eonhae assumed that the Confucian Theory of Way, dubbed as dotongron, should be the most critical principle of how the honorific system of language is. But in the same agency's version of 『Seogyeong Eonhae』, which is a Confucian scripture and historic it was most stressed that the history of the ancient times had been recorded in writing by contemporary official historiographers and, accordingly, situational logic was applied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that honorific system. This i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yeongjeong versions. Therefore, 『Seogyeong Eonhae』 used honorific words in describing speeches and affairs from the Six Wise Kings of the Yao-Shun period and so-called the Heavenly Son. The publication also showed worship towards Jugong and Kija in accordance with the Legitimate Theory including the theory of way as mentioned above. In conclusion, the Gyeonjeongcheon version of 『Seogyeong Eonhae』 put its first priority on situational logic, but occasionally accepted the Sung-Confucian Theory of Legitimac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상황 논리에 입각한 존대법
Ⅲ. 正統論에 입각한 존대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옥(Yu Young Og). (2016).校正廳本『書經諺解』의 존대법. 동양한문학연구, 44 , 283-309

MLA

유영옥(Yu Young Og). "校正廳本『書經諺解』의 존대법." 동양한문학연구, 44.(2016): 283-3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