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이용수 45

영문명
The social symbolism of the ‘Geumdanggok’ as viewed through Namya Park Son-Gyeong's life and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권경록(Kwon Kyong ro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2집, 147~191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영남삼로(嶺南三老)’로 일컬어지던 남야(南野) 박손경(朴孫慶)의 시문을 통해 그의 삶과 문학 그리고 그 현장의 문화지리적 의미를 밝힌 것이다. 박손경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백불암(百佛庵) 최흥원(崔興遠)과 함께 18세기 ‘영남삼로’로 추앙되었다. 그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십승지로 일컬어지던 예천(醴泉) ‘금당곡(金塘谷)’에서 실천하는 처사(處士)로 일생을 마친 인물이다. 이 글은 문학 속에 재현되는 공간표상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표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이 글은 ‘금당곡’에 관련된 박손경의 문학적 공간표상이 사회적으로 생산된 하나의 공간이라는 전제 위에서 서술되었다. 그 결과 박손경의 문학에 재현된 ‘금당곡’은 ‘일상의 공간’, ‘교유·교화의 공간’, ‘천형(踐形)의 실천 공간’이었다. 박손경은 ‘사람다움을 실현하는 것’, 곧 ‘천형’을 사람의 직분으로 이해했고, ‘금당곡’은 그 직분을 다하는 삶의 공간이었다. 시대의 참된 인간으로서의 삶을 실천해 가는 철저한 ‘진인(眞人)’의 심상공간이었다. 박손경이 ‘금당곡’에서 처사로 ‘천형’을 실천하고, 문학을 생산해 낸 것은 십승지 ‘금당곡’이라는 사회·지리적 결과와 질서 속에서의 장소 점유와 문화의 생산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literature of Namya Park Son-gyeong, who w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and examine the cultural and geographic meanings of his place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He was revered as one of ‘Three Old Men of Yeongnam’ in the 18th century along with Daesan Lee Sang-jeong and Baekburam Choi Heung-won. He did not hold a government position and was devoted to practice at ‘Geumdanggok’ of Yecheon, which was called Shipseungji, until he passed away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its discussions in the method of literary geograph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s between geographical space and literary representation, to shed light onto the meanings of spatial representations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as social spaces. The study was based on the premise that Park's literary spatial representations related to ‘Geumdanggok’ were socially created spaces. The findings show that ‘Geumdanggok’ reproduced in his literature represented ‘space for life’, ‘space for social intercourse and reformation’, and ‘space for the practice of Cheonhyeong’. He understood ‘Cheonhyeong’ or ‘practice of being human’ as the duty of man and found a life space for the fulfillment of the duty in ‘Geumdanggok’, which was a space of mental imagery of a ‘true man’ that practiced life as a true human being of the times. His practice of ‘Cheonhyeong’ as a classical scholar that lived in a remote village without holding office and his literary creation at ‘Geumdanggok’ were the results of place occupation and cultural production in the social and geographic outcome and order of ‘Geumdanggok’, one of Shipseungji.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嶺南三老’, 處士의 삶
3. ‘金塘谷’에 대한 시선과 표상
4. ‘金塘谷’, ‘踐形’의 공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경록(Kwon Kyong rok). (2016).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한국문학논총, 72 , 147-191

MLA

권경록(Kwon Kyong rok). "南野 朴孫慶의 삶과 문학을 통해 본 ‘金塘谷’의 사회적 상징성." 한국문학논총, 72.(2016): 147-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