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월남전 휴(종)전의 정치경제적 심상

이용수 231

영문명
Political and Economic Image of Cease-fire(Cessation of War) of Vietnam War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주현(Kim Ju hyeo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72집, 41~7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월남 휴(종)전이 한국 사회에 미친 정치경제적 심상을 크게 세 방향에서 분석했다. 월남전 휴전 협상은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만, 한반도 휴전을 월남 휴전의 ‘부정적’ 모델로 삼은 한국 정부는 휴전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휴전론이 가시화되면서 휴전은 경제적 관점에서 모순적으로 상상되었다. 최초의 ‘휴전=월남 특수 종료’라는 시각에 반해 전후재건에 참여할 새로운 기회로서 휴전이 강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시각은 ‘메콩종합개발계획’으로 집약돼 비상한 관심을 끌었으나 월남이 패망하자 싱겁게 종결된다. 휴전론은 또한 1960년대 후반 인력 수출 장소로 떠오른 동남아 표상에 선택적으로 관여했다. 라오스, 캄보디아는 중립주의에 관계없이 월남전에 휘말린 위험 지역으로, 친서방 국가는 낙후됐으나 개발 가능성이 무궁한 자원의 보고로 표상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월남전을 중심으로 동남아를 가르고 묶는 발상이며, 현재의 동남아 이미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한국 정부는 월남 패망을 안보의 반면교사로 전유하여 월남전 종결을 승공(勝共) 성장론으로 재빨리 종합한다. 이 일련의 과정에서 공식적 파월 담론에 도전하는 지식 사회의 ‘비판적’ 개입은 드물었고, 방법적으로도 대중의 관심을 끌기에 부족했지만, 시기와 내용으로 판단하건대, 70년대에 발표된 월남전 소설 텍스트는 휴(종)전론의 파장을 월남전 재현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images of cease-fire (cessation of war) of Vietnam War affecting Korean society from 3 different aspects. While cease-fire talks on Vietnam War were initiated in 1968, the Korean government was largely negative on the talks since the cease-fire in the Korean Peninsula was a ‘negative’ model for Vietnam Wa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government. When the cease-fire talks became more evident, however, the cease-fire was contradictively visualized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On the contrary to the earlier view of ‘Cease-fire representing the end of special economic boom from the Vietnam War,’ the cease-fire began garnering attentions as new potentia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ost-war reconstructions. These views were integrated into ‘Mekong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to draw unusual interests, but it all abruptly ended when Vietnam collapsed. The cease-fire talk also selectively engaged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which emerged as a manpower expert site in the late 1960s. Laos and Cambodia viewed as a war-infested danger zone regardless of neutralism, whereas pro-Western nations perceived the region as a rich repository of natural resources with unlimited potentials despite primitivity. It is believed that such perception not only divided the Southeast Asia based on the Vietnam War but also significantly impacted the image of the Southeast Asia. Lastly, the Korean government promptly moved on to accumulate the end of Vietnam War into a growth theory by defeating communism after asserting to learn lessons of national security from the fall of Vietnam. Throughout these series of processes, it was rare to find ‘critical’ interventions from the intellectual society challenging the expedition of troops to the Vietnam War. And although it was methodologically insufficient to draw public interest, the social text on the Vietnam War published in the 1970s can be deemed to accept the aftermath of cease-fire talk as new momentum of the Representation of Vietnam War when judging it based on the time and its contents.

목차

국문초록
1. 다시 읽는 휴전론
2. 월남재건 참여론의 양가성
3. 선택/배제되는 동남아시아 표상
4. 포스트 파월론=승공(勝共) 성장
5. 종전, 재현의 모멘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현(Kim Ju hyeon). (2016).월남전 휴(종)전의 정치경제적 심상. 한국문학논총, 72 , 41-73

MLA

김주현(Kim Ju hyeon). "월남전 휴(종)전의 정치경제적 심상." 한국문학논총, 72.(2016): 4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