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论汉韩感官形容词 “深”和“깊다”的认知域投射

이용수 119

영문명
A Discussion on the Cognitive Domain Projection of Sensory Adjectives “深” in Chinese and “깊다” in Korea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石坚 (Shi, Jian) 松涛 (Han, Songtao)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3輯, 129~14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9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러 감각기관 중에서 시각 감각기관은 사람의 중요한 감각기관 중의 하나이다. 사람은 시각 감각기관을 통해 색채, 명암, 사물의 크기, 길이, 높이, 면적과 체적 등의 내용들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인지한 내용들은 감각형용사를 통해 표현하게 된다. 공간에 대한 인지는 인간의 기본적인지 중 하나이다. 인간은 공간을 1차원, 2차원 그리고 3차원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감각형용사를 통해 다른 공간 차원의 특징을 표현한다.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는 각각 1차원 공간에서 사물의 깊이에 대해 인지한 언어 표현이다. 두 어휘의 의미 구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두 어휘는 각각 공간적 개념의 근원 영역에서 출발하여 은유를 통해 다른 목표 영역으로 투사된다. 이는 여러 가지 확장된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의 구조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어휘는 의미 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시간, 감정 등과 같이 서로 같은 목표 영역도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대조언어학과 인지언어학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중국어 '深'과 한국어 '깊다'가 의미를 투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차이를 분석하고 각각의 인지영역 투사 특징에 대해 논의하도록 하겠다

영문 초록

Human Beings have so many senses,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senses among them is visual sense through which we can distinguish different colours, feel light and shade, and perceive the size, length, height, area and volume of an object. We can use sensory adjectives to describe our feelings and perception. The spatial perception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erceptions of human beings. The spatial dimension is divided into one dimensio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Human beings use different sensory adjectives to demonstrate the features of different dimensions. “深” in Chinese and “깊다” in Korean are linguistic performance in two languages to the perception of depth in one dimension. However, we find that in the meaning construction, “深” and “깊다” project from the respective source domain of depth to other target domains. Through cognitive approach of metaphor, the two words generate many extended meanings and construct their polysemy structures respectively. Though distinctive features as shown in the respective cross-domain cognitions, many same target domains appear, such as time, emotion and etc. Based on Contrastive Linguistics and Cognitive Linguistics theories,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words in the course of projection and discuss their characteristics in cognitive domain projection.

목차

Ⅰ. 绪论
Ⅱ. “深”和“깊다”的始源域表义
Ⅲ. “深”和“깊다”的认知域投射
1. 情感域
2. 时间域
3. 色彩域
4. 其他抽象概念域
Ⅳ. 结论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石坚,(Shi, Jian),韩,松涛,(Han, Songtao). (2016).论汉韩感官形容词 “深”和“깊다”的认知域投射. 동양한문학연구, 43 , 129-144

MLA

石坚,(Shi, Jian),韩,松涛,(Han, Songtao). "论汉韩感官形容词 “深”和“깊다”的认知域投射." 동양한문학연구, 43.(2016): 129-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