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텔기업의 직무특성, 집단 효능감,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

이용수 156

영문명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Group Efficacy, Job Satisfaction in the Hotel Company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최해수(Choi, Hae-Soo)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28권 제3호, 119~14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8.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텔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특성들을 조사하여 이들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실증분석연구이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직무특성변수인 직무다양성과 직무중요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직무정체성은 직무만족도에 비유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분석에서 직무특성변수인 직무중요성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시사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업원들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호텔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다양한 직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직무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직무만족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로 본 연구에서는 집단 효능감을 사용하였는데, 분석결과에서 제시해주고 있는 바와 같이 종업원이 수행하는 직무의 중요성과 관련지어 집단효능감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를 제고시킨다는 결과를 제시해주고 있어 직무의 중요성이 높다고 조직구성원이 인식할 경우 집단 구성원들의 직무수행에 따른 효능감보다는 개인의 직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imed at analysing the causal effect among job characteristics, group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for employees working at hotel company locating in Seoul, And This paper is an empirical study that verifies the hypotheses by questionnaire survey. Therefore, the author established the 6 hypotheses to achieve this goal. The sampling size is 293 peoples of 17 hotel companies. The author used the SPSS 15.0 as a analysis t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causal effect analysis. And the method of hypothesis verification is analys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ausal effect analysis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hierarchical linear analysis method is accepted to analyse the moderation effects of group efficacy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Lastly the author used the Johnson and Neyman" significance verification macro to analyse the moderation effect region of group efficacy between these.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predictors to influence to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re task variety and task importance without job identity. Second it turned out the job importance to have the moderation effect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but the others were not have the moderation effect between these. And the significance region of moderation effect was bound to -1.95 to 0.8487 of group efficac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검토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해수(Choi, Hae-Soo). (2013).호텔기업의 직무특성, 집단 효능감,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 관광연구, 28 (3), 119-143

MLA

최해수(Choi, Hae-Soo). "호텔기업의 직무특성, 집단 효능감,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 관광연구, 28.3(2013): 119-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