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토기문화와 중국 동북지방

이용수 492

영문명
The Pottery Culture in the Bronze A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astern China.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안신원(Ahn Shin W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0號, 163~1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반도 무문토기의 등장과 중국 동북지방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본 글이다.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학문화가 한반도 선사문화의 성립과 발전에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기존에 한반도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양식을 갖춘 토기의 등장은 한반도 내에서의 자생적 계기발전을 상정할 수도 있으나 외래적 요소가 존재하고 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한반도 청동기시대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등장한 것으로 인정되는 돌대문토기이다. 돌대문토기는 그동안 마성자문화를 기원으로 한다고 알려져 왔으며, 주민의 이주를 통한 한반도의 유입이 상정되어 왔다. 그러나 돌대문이라는 속성은 중국 동북지방 토기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토기의 속성 중 하나이기 때문에, 요동과 압록강 일대를 통해 한반도로 유입되었을 가능성과 함께 동북한 지역을 통한 유입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생각된다. 즉, 중국 동북지방의 고고학문화는 넓은 지역적 범위, 장기간에 걸친 시간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개별 유물의 변화만으로는 다양한 문화적 변천과정을 이해하기 어렵다. 한반도 상고문화의 기원은 다차원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다양한 문화교류의 양상이 재지문화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한반도 상고문화를 형성하고 발전시켜 나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he dissertation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ppearance of pattern-less earthenware and the Northeastern China. The fact that the archaeological culture in the Northeastern China is closely related to prehistoric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is obvious. The advent of pottery having brand-new features which had never existed in Korean peninsula originally could have been invented in Korean Peninsula in itself. But it can also be possible that there were exotic factors to encourage it to be developed. The most attractive thing is‘Doldaemun’pottery which is regarded as to be appeared in the earliest period during the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known that‘Doldaemun’pottery is originated to Machengzi Cultur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from inflow 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movement of the people. But the feature that it is‘Doldaemun’, which is one of the common potteries widely appeared among those of the Northeastern China, makes another possibility of inflow through Northeastern Korea, in addition to the other possibility of inflow through Liaoning Province and Ap-rok river, to the Korean peninsula. In other words, the archaeological culture in the Northeastern China is extremely diverse and complicated because of its province of immense size and the period of long ter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verse cultural change solely based on the each artifact. It is granted that the origin of the prehistoric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various perspective. So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different cultural transitions had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prehistoric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interaction with local cultur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중국 동북지방의 유적
Ⅲ. 한반도 토기와의 비교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신원(Ahn Shin Won). (2014).한반도 청동기시대의 토기문화와 중국 동북지방. 백산학보, (100), 163-192

MLA

안신원(Ahn Shin Won).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토기문화와 중국 동북지방." 백산학보, .100(2014): 163-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