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안에 삽입한 회절성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6개월 임상 결과
이용수 0
- 영문명
- Clinical Outcomes of Diffractive Trifocal Intraocular Lens in Both Eyes:A 6-Month Follow-Up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권영기 김홍균 이준훈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9, 1331~133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양안에 삽입한 회절성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6개월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7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양안에 수정체 초음파 유화술 및 회절성 삼중초점 인공수정체(AT Lisa Tri 839 MP trifocal IOL; Carl Zeiss Meditec, Jena, Germany) 삽입술을 시행한 22명 44안을 대상으로 6개월간 수술 후 구면렌즈 대응치 및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력의 질과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defocus curve를 구하였다.
결과: 단안 시력은 수술 후 1개월째 근거리 0.23, 중간거리 0.22, 원거리 0.02 logMAR, 3개월째 근거리 0.21, 중간거리 0.20, 원거리0.01 logMAR, 6개월째 근거리 0.20, 중간거리 0.22, 원거리 0.01 logMAR였다. 양안 시력은 1개월째 근거리 0.16, 중간거리 0.12, 원거리 0.0 logMAR, 3개월째 근거리 0.15, 중간거리 0.11, 원거리 0.0 logMAR, 6개월째 근거리 0.15, 중간거리 0.13, 원거리 0.0 logMAR였다. 12명의 환자에서 눈부심 증상, 17명의 환자에서 달무리 현상을 호소하였으나 이로 인해 매우 불편하다고 응답한 환자는 1명이었다.defocus curve는 0.0D와 -2.5D에서 고점을 보였으며 중간거리에서도 비교적 완만한 형태를 보여주었다.
결론: 회절성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는 우수한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을 보여주었고 환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after cataract surgery with bilateral implantation of the diffractive trifocal intraocular lens(IOL).
Methods: Forty-four eyes of 22 patients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from July 2014 to December 2014. Phacoemulsification with bilateral implantation of an AT Lisa tri 839 MP IOL (Carl Zeiss Meditec, Jena, Germany) was performed. Over a 6-month follow-up, the main outcome measures were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UDVA),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UIVA) at 80 cm,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UNVA) at 40 cm, and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Visual quality and patient satisfaction were evaluated using a Quality of Vision questionnaire. Finally, the defocus curve was measured.
Results: The mean monocular UNVA, UIVA, and UDVA were 0.23, 0.22, and 0.02 log MAR at 1 month, 0.21, 0.20, and 0.01 log MAR at 3 months and 0.20, 0.22, and 0.01 log MAR at 6 months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The mean binocular UNVA, UIVA,and UDVA were 0.16, 0.12, and 0.0 log MAR at 1 month, 0.15, 0.11, and 0.0 log MAR at 3 months and 0.15, 0.13, and 0.0 log MAR at 6 months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Twelve patients reported glare and 17 patients reported halo. Defocus curve showed best visual acuity results at 0.0 D and second peak at - 2.5 D. The intermediate-vision values were stable.
Conclusions: Diffractive trifocal IOL provided excellent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outcom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학부 중앙원공이 있는 새로운 안내렌즈와 기존 안내렌즈의 임상결과 비교
- 소아 ․ 청소년에서 시신경유두 드루젠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 실데나필 시트르산염 과다복용 후 발생한 색각이상 및 시야감소 1예
- 시력저하와 우울장애 및 우울증상 경험: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2
-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한 정상 한국인과 백인의 안와 구조의 비교
- 뇌병변이 확인된 환자의 시야 이상 분석
- 포도막염에 의한 녹내장과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의 성적 비교
- 양안에 삽입한 회절성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6개월 임상 결과
- 라섹 수술 후 3% 디쿠아포솔나트륨 점안액 사용의 임상적 유용성
- 일차 하사근기능항진과 상사근마비에 의한 이차 하사근기능항진에서 하사근전위술의 교정효과
- 안내염 배양에서 소아용 혈액배양병의 유용성
- 굴절이상 정도에 따른 원시 소아의 임상양상 비교
- 아래눈꺼풀 혈관부종으로 발현된 운동 유발성 아나필락시스 1예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의 진단 능력: 시야결손 전 녹내장과 큰 시신경유두함몰군 간 비교
- 해면정맥동염에 의한 완전 동안신경마비를 동반한 안부대상포진 1예
-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에서 시행한 공막 창상 봉합의 효과
- 표층황반원공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가스충전술의 효과
- 한 눈 약시 환아에서 원거리 시력과 근거리 시력의 호전속도 비교
- 회절성 비구면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임상결과
- Dynamic Contour Tonometry 및 골드만 압평 안압계와 중심각막두께의 관계
- 베게너 육아종증 환자에서 시행한 성공적인 내시경적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 황반원공 수술 후 가스 충전안에서 파장 가변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 베바시주맙과 라니비주맙에 반응 없는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애플리버셉트 주입술의 효과
- 맥락막 흑색종으로 오인된 색소성 맥락막전이암 1예
- 당뇨황반부종 호전 후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와 시력과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