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굴절조절내사시에서 원시 굴절률의 장기변화

이용수 15

영문명
Long-Term Changes of Hyperopic Refractive Error in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나혜 백혜정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4, 580~585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굴절조절내사시의 장기간 추적 관찰 시 원시 굴절률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최소 3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굴절조절내사시 환자들 중 초진 시 +1.50디옵터(D) 이상의 굴절률을 보인54명을 대상으로 초진 시 원시 굴절률(+1.50~<+3.00D, ≥+3.00~<+5.00D, ≥+5.00D), 첫 원시안경 착용 연령(2세 미만, 2-4세미만, 4세 이상), 약시 유무, 난시(<0.75D, ≥0.75-<1.25D, ≥1.25D)와 입체시(≤400 sec, >400 sec)에 따른 최종 관찰 시점의 굴절률 변화에 대하여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Wilcoxon’s signed-ranks 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Htest, ANOVA를 사용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p<0.05). 결과: 굴절조절내사시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03.72 ± 41.82개월로 초진 시 원시가 심할수록 관찰 기간 동안 유의하게 많은 원시굴절률 감소가 일어나 정시화 과정을 보였으나(p<0.001), 이는 원시값의 정도와는 무관하였다. 그러나 4세 이후 원시안경을 처음처방 받은 경우, 약시, 1.25D 이상의 난시, 불량한 입체시를 보인 경우는 유의한 원시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굴절조절내사시의 장기적인 원시 굴절률 변화는 초기 원시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감소되며, 늦은 원시안경 착용 및 약시, 1.25D이상의 난시와 입체시 불량 등 시기능에 의해 정시화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long-term changes of hyperopic refractive error in patients wit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4 patients with accommodative esotropia who underwent at least 36 months of follow-up and had hyperopia more than +1.50 diopter (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yperopia: +1.50~<+3.00 D, ≥+3.00~<+5.00 D, and ≥+5.00 D, the age of their first hyperopic glasses prescription:under two-years old, between two to four-years old and older than four years old, whether or not they had amblyopia, the degree of astigmatism: <0.75 D, ≥0.75-<1.25 D, and ≥1.25 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ereopsis: ≤400 sec and >400 sec. The divided groups were than retrospectively reviewed if they influenced the refractive error at the third year of follow-up using Fisher’s exact test, paired t-test, Wilcoxon’s signed-ranks test,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H test,and ANOVA (p < 0.05).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03.72 ± 41.82 months for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Patients with a greater initial hyperopic refractive error showed a significant tendency towards emmetropization with a higher rate of hyperopic decrease(p < 0.001), regardless of the hyperopic refractive error.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patients who started wearing glasses after four-years old, patients with amblyopia, patients with a large degree of astigmatism, and patients with poor stereoacuity. Conclusions: Long-term changes of hyperopic refractive error in accommodative esotropia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when initial hyperopic refractive error was high. Wearing hyperopic glasses at an older age and visual functions such as amblyopia, large degree of astigmatism, and poor stereoacuity may influence emmetropiz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혜,백혜정. (2015).굴절조절내사시에서 원시 굴절률의 장기변화. 대한안과학회지, 56 (4), 580-585

MLA

김나혜,백혜정. "굴절조절내사시에서 원시 굴절률의 장기변화." 대한안과학회지, 56.4(2015): 580-5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