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2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Management System in Urban Renewal Project -Focused on Seoul city's Public Management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진수(Kim, Jin Soo)ㅣ이정은(Lee, Jeong Eu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2輯, 33~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22/122428.jpg)
국문 초록
투명하고 공정한 도시및주거환경정비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도입된 공공관리제도가 2010년 7월 전국 최초로 서울특별시에서 전격 시행된 지 5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공공관리제도가 그 목표대로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순기능을 하고 있는지 또는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는지 그 효과를 평가하여 개선점을 제시하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서울특별시 소재 조합·추진위 임원, 일반 주민(조합원), 관련 전문가, 공무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500여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공관리제도의 현상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관리제도가 서울시의 기대처럼 정비사업의 투명성, 효율성, 공정성, 특히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오기 보다는 사업지연의 요소가 되고 있어 공공관리제도의 주민선택제로 전환하거나 폐지, 공공개입 모델의 다변화, 업무영역 재검토 등이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ublic management system and to offer some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conducted by the crosstabs and anaysis of variance on the ba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articipant in urban renewal projects.
(3) RESEARCH FINDINGS
Despite the system’s intention to increase effectiveness, transparency, fairness and the cost-saving effect, on the contrary, it was seen as a part of the reason for some delay, rising costs and stoping project.
2.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public management system, it is required to diversify public intervention model and reappraise the plan of urban renewal project. In addition to that, Reserving the right to choose if the participants of project want to proceed the project with public management system is needed.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공공관리제도의 이론적 고찰
1. 공공관리제도의 의의
2. 공공관리제도 운영현황 및 성과
3. 선행연구 검토
Ⅲ. 실증분석
1. 연구설계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3. 설문응답자의 인식조사 결과
4. 소속에 따른 인식차이 분석
Ⅳ.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강원랜드 카지노 입지의 삶의 질 향상효과에 대한 인식
- 주택모기지론 거래은행 선택요인 분석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 행복주택사업이 타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전·월세 임대소득 과세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거시경제변수가 공매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임대차분쟁조정제도 도입에 관한 법적 고찰
- 부동산펀드 성과 영향요인 분석
- 매장용 임대 빌딩의 임대료 결정요인 분석
- 부동산경매에서 유치권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지역별 주택시장 버블지표 추정연구
- 오피스 소유주체의 업종특성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 유치권자가 신청한 경매와 다른 경매절차와이 경합
- 서울시 간접투자대상 오피스빌딩의 실질임대료 및 Cap. rate 비교연구
- GARCH, EGARCH 모형을 이용한 주택 매매, 전세, 월세시장의 변동성과 이전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지표와 서울시민의 정주(定住)의식에 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좋은 일자리 결정요인에 대한 남녀 차이 비교연구 - AHP 기법을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
- 일본 FDI 제조기업 지역화 정도: 한국의 경우
- 탄소세가 베트남 가계에 미치는 배분효과: 통합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