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FDI 제조기업 지역화 정도: 한국의 경우
이용수 0
- 영문명
- The Localization of Japanese FDI Manufacture : In the case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황석준(Seok-Joon Hwang)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第42卷 第4號, 79~1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8944.jpg)
국문 초록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투자한 일본 해외직접투자 기업들의 지역내 상호작용을 각 기업들 간의 거리를 통해 추정하였다. 추정은 일본 해외투자기업들의 주소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도에 투사하고 각 동일 산업에 속한 일본 해외직접투자 기업간 거리를 수도권, 경상북도, 경상남도 및 전라도 권역으로 나누어 수집하고 커널추정(Kernel Estimation)을 통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인 거리로 추정하였다. 또한 지방행정기관 및 지형적인 영향에 따른 외생적인 효과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일지역 내의 핫스팟(hot-spot)의 개수를 적절히 통제하여 사회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를 식별하였다. 따라서, 한국에 직접 투자한 일본 기업들간의 사회적 상호 작용의 범위를 물리적 거리로 추정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일본 해외투자 기업들의 입지에 대한 지역별 특징을 찾았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본 다국적 기업 유치를 통해서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지역정책입안자들에게 정책 강도를 권역별로 상호비교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지역 정부의 해외직접투자 유인정책에 대한 실행정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interprets localization as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irms within the same country and measures the influence of specific regions on the concentration in certain areas of a particular country. Based on the discussion by Duranton and Overman(2005),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firms was measured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m, but the distance between hot-spots was used to control for the exogenous effects of local government policies that influence the use of specific spaces. Specifically, the above methodology was applied to estimate the localization scope of Japa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manufacturing firms in South Korea by using the distances between them. First, a density-based clustering method was used to classify the regions in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Jeolla Area, Gyeongbuk Area, and Gyeongnam Area, and the distances between Japanese firms located in each region were measured. Then, spatial statistics and kernel density functions for the distribution of inter-firm distances in each region were estimated. Subsequently, the localization scope, adjusted for the standard distance, was calculated using the number of potential hot-spots within the standard distance to control for exogenous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ization intensity per unit dista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approximately 2.9 times higher than in the Chungcheong Area, 3.6 times higher than in the Gyeongbuk Area, 3.7 times higher than in the Gyeongnam Area, and 5.9 times higher than in the Jeolla Area. Thus, local governments seeking to attract Japanese FDI manufacturing firms could use this as a benchmark to understand the necessary level of policy efforts relative to the reference region.
목차
Ⅰ. 서론
Ⅱ. 해외투자기업의 지역에서의 상호작용
Ⅲ. 해외직접투자 기업의 지역적 분포: 일본 기업의 경우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좋은 일자리 결정요인에 대한 남녀 차이 비교연구 - AHP 기법을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
- 일본 FDI 제조기업 지역화 정도: 한국의 경우
- 탄소세가 베트남 가계에 미치는 배분효과: 통합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