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그룹별 환경원단위 효율의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Environmental Intensity Efficiency by Country Group
발행기관
한국경제통상학회
저자명
강상목(Sangmok Kang)
간행물 정보
『경제연구』第42卷 第4號, 3~2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확률변경거리모형을 사용하여 CO₂와 PM2.5배출량의 환경원단위효율(EIE)을 측정하고 5개 소득 그룹별 원단위 효율을 비교해 보고자 함이다. 원단위효율은 환경규제의 영향을 받는 약처분과 받지 않는 강처분으로 구분하고 원단위비효율오차의 분포는 절단정규분포와 반정규분포로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실증결과에 의하면 CO₂와 PM2.5배출량의 약처분추정식에서 동일하게 K의 증가는 CO₂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석에너지는 CO₂배출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원단위효율의 증가추이에서 PM2.5원단위보다 CO₂원단위 효율의 향상속도가 빠르다. PM2.5배출량의 증가가 CO₂배출량 증가속도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CO₂원단위효율은 고소득그룹, OECD, 저소득그룹이 높았고 PM2.5원단위 효율은 고소득그룹, 상위중간소득그룹, OECD 순서로 높았다. 이처럼 두 원단위 효율은 속한 각 국가의 소득수준에 따른 경제발전단계와 배출량의 차이를 반영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Intensity Efficiency (EIE) of CO₂ and PM2.5 emissions using the Stochastic Frontier Distance Function model and to compare the intensity efficiencies across five income groups. The intesnsity efficiency is divided into strong and weak disposability based on the impac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inefficiency errors in intesnsity efficiency is estimated using the truncated normal and half-normal distributions.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K consistently acts to reduce CO₂ emissions in the weak disposability estimation equations for both CO₂ and PM2.5 emissions. However, fossil energy tends to increase CO₂ emissions. Additionally, in the trend of increasing intesnsity efficiency, the improvement speed of CO₂ intesnsity efficiency is faster than that of PM2.5 intesnsity efficiency. The increase in PM2.5 emissions is proceeding faster than the increase in CO₂ emissions. The CO₂ intesnsity efficiency was highest in the high-income group, OECD, and low-income group, while the PM2.5 intesnsity efficiency was highest in the high-income group, upper-middle-income group, and OECD, in that order. These results reflect the differences in economic development stages and emissions based on the income levels of the respective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모형
Ⅲ. 실증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상목(Sangmok Kang). (2024).국가그룹별 환경원단위 효율의 비교. 경제연구, 42 (4), 3-27

MLA

강상목(Sangmok Kang). "국가그룹별 환경원단위 효율의 비교." 경제연구, 42.4(2024): 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