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Sharp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on the Gender Wage Gap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양진보(Jinbo Yang) 김기승(GiSeung Kim)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第42卷 第4號, 29~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8944.jpg)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이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일어난 2017년과 2018년과 비슷한 시기 비교적 낮은 최저임금 인상률을 보인 2019년과 2020년 최저임금 영향집단의 성별 임금차이를 이중차분분석으로 비교하였으며 최저임금 영향집단과 미만집단, 차상위임금집단으로 구분하여 최저임금 영향권에 있는 집단을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저임금의 증가가 성별 임금격차를 가중하는 결과를 보여 최저임금의 인상이 성별 임금격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 rapid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on the gender wage gap us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s Korea Labor Panel Survey.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DID) was used to compare the gender wag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ffected by the minimum wage in 2019 and 2020, which showed a relatively low minimum wage increase rate at a similar time to 2017 and 2018, when the minimum wage increased sharply, and the groups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minimum wage were analyzed together. As a result, the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increased the gender wage gap,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der wage ga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실증 모형
Ⅲ. 실증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좋은 일자리 결정요인에 대한 남녀 차이 비교연구 - AHP 기법을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
- 일본 FDI 제조기업 지역화 정도: 한국의 경우
- 탄소세가 베트남 가계에 미치는 배분효과: 통합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