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교육엘리트 충원의 특성 분석:교육부 장·차관의 교육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용수 364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lite Recruitment in Korea: Focu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inisters and Vice-Minister of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부태(Kim, Bootae) 이병환(Lee, Byunghwa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139~164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부 장관과 차관에 대한 충원 배경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고위 교육 관료의 충원방식이 갖는 교육적 배경의 특징은 한국 관료제의 형성과 학력·학벌사회의 맥락에서 형성된 것으로 본다. 그들의 교육적 배경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로부터 확인된 충원관련 요인을 주요 분석항목으로 하였다. 자료는 대한민국 역대삼부요인총감, 한국인물사전, 인터넷상의 관련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박사학위가 교육부 장관과 차관 충원의 기본적 요건 이다. ② 학부 학력으로는 국내 대학 학력자가 압도적 다수이며, 특히 서울대학교 출신자의 편중도가 높 다. ③ 대학원 학력의 경우, 외국 대학원 학력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으며, 특히 미국 대학원 학력자의 편중도가 높다. ④‘서울과 지역의 고교-서울지역의 학부-외국의 대학원’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학력취 득의 주된 공간적 경로이다. ⑤ 전공학문으로 교육학, 법학, 정치학 등의 사회과학 전공자가 약 70%를 차지한다. ⑥ 주요 경력으로 장관은 대학의 총장과 교수 등 교육행정경력 및 교육경력자가 다수이며, 차관은 고시합격자 등의 관료 및 교수 출신자가 다수이다. ⑦ 출신지역, 청와대 재직경력이 충원의 배경으로 작용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학력·학벌사회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인재(人材)를 육성하는 교육체제를 확립하고, 중앙중심적이고 관료주의적 인사제도를 혁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ruitment by analyzing educational background of Ministers and Vice-ministers of Education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are regarded as formations in the context of Korean bureaucracy and hakryuk·hakbul societ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data collected from several dictionaries about Korean public figures and the related websites were used. Major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Doctoral degree is a basic requirement. (2) In undergraduate level,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Korea(85.3%), especially Seoul National University(53.4%), were overwhelming majority. (3) In graduate level,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61.7%), especially U.S.A.(46.5%), were more than ones from Korean universities. (4) The route of ‘high school in Seoul/region – university in Seoul – graduate school in U.S.A.’ was the main path. (5) Education majors were majority but not dominant. Social science majors were about 70%. (6) Their main previous careers were presidents and professors in universities, and bureaucrats. (7) Their native hometown and career at the Cheongwadae might have affected their appointment as Minister or Vice-Minister of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 고위 관료 충원의 배경
Ⅲ. 한국 교육부 장·차관의 교육적 배경 분석
Ⅳ. 교육적 배경과 충원의 특성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부태(Kim, Bootae),이병환(Lee, Byunghwan). (2015).한국 교육엘리트 충원의 특성 분석:교육부 장·차관의 교육적 배경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3 (3), 139-164

MLA

김부태(Kim, Bootae),이병환(Lee, Byunghwan). "한국 교육엘리트 충원의 특성 분석:교육부 장·차관의 교육적 배경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3.3(2015): 139-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