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尙書』「商書」<仲虺之誥>의 ‘慙德’에 대한 논변

이용수 112

영문명
Disputes Over ‘Chamdeok’ Described in in the「Sangseo」Section of Ancient Literature『Sangseo』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유영옥(Yu, Young-O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1輯, 183~21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仲虺之誥>는 신하 중훼가 湯王의 慙德을 풀어주기 위해 放伐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나아가 大德을 더욱 日新하여 政事에 권면할 것을 경계한 글이다. 탕왕은 방벌을 끝낸 뒤 스스로 慙德하여 후세가 자신을 口實로 삼을까 두렵다고 했다. 따라서 <중훼지고>의 핵심은 바로 ‘慙德’이다.‘慙德’에 대한 해석은 두 가지로 대별된다. 하나는 蔡沈의『書集傳』처럼 탕왕이 桀王방벌로 인해 참덕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견해고, 다른 하나는 茶山丁若鏞처럼 탕왕의 참덕 자체를 부정하는 견해다. 전자는 탕왕이 堯舜의 禪讓을 뒤이어 放伐했기에 不安한 마음이 있어 자신의 德이 옛날과 같지 못함을 부끄러워했는데, 탕왕이 慙德한 이유는 응당‘君臣之分’을 돌아보았기 때문이라 하였다. 이는『논어』의‘盡美未盡善’과『맹자』의 ‘湯武反之’에 대한 朱子의 思惟와 맥락이 동일하다. 후자는 <중훼지고>가 古文尙書에만 있음을 내세워 慙德과 口實을 僞作으로 보았고, 放伐한 湯武와 授受한 堯舜은 同德이니 탕왕이 부끄러웠을 리가 없다는 논리를 펼쳤다. 또 臣伐君之事의 처음은 黃帝요 탕왕이 아니며, 黃帝는 물론 탕왕도 방벌에 대한 부끄러움은 없었다고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After conquering and expelling tyrant King Jie, King Tang was ashamed of himself and said he was afraid to be taken a sort of pretext(gusil:口實) by descendents. To relive king Tang from the shame, his subject Zhong-hui wrote that stressed it was legitimate to have cracked down on King Jie. The key point of the writings lies in ‘chamdeok’(慙德) which means ‘feeling shame about one’s degree of virtuousness’ Concerning King Tang’s chamdeok, there are two main views. One recognizes Tang’s chamdeok as a reality like Cai-shen did in『Seojipjeon』. And the other considers it as a fake like Jeong Yak-yong did. According to the former view, King Tang conquered and expelled King Jie after abdication of the throne from both Yao and Shun, so he was ashamed that he was less virtuous than before. Thus, Tang’s chamdeok was fundamentally because the fact that he as a subject got away with the tyrant Son of Heaven reminded him of how the relations of sovereign and subject should be(君臣之分). This view complies with Confucius’saying ‘Wu is extremely beautiful, but not extremely good’(盡美未盡善) and Meng-zi’s saying ‘Both Tang and Wu are men who restored human nature of their own’(湯武反之). While, the latter view regarded ‘chamdeok’ and ‘gusil’ as all fake since is found only in ancient literature Sangseo(古文尙書). It also insisted that Tang and Wu could never be ashamed of having conquered and expelled the tyrant king because both of them were virtuous as much as both Yao and Shun. Furthermore, that interpretation suggested King Tang shouldn’t be blamed since it was Huang-di who had been the first subject to get away with sovereign.

목차

Ⅰ. 머리말
Ⅱ. <仲虺之誥>의 구성과 내용
Ⅲ. ‘慙德’에 대한 두 해석
1. ‘慙德’을 인정하는 견해
2. ‘慙德’을 부정하는 견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옥(Yu, Young-Og). (2015).『尙書』「商書」<仲虺之誥>의 ‘慙德’에 대한 논변. 동양한문학연구, 41 , 183-213

MLA

유영옥(Yu, Young-Og). "『尙書』「商書」<仲虺之誥>의 ‘慙德’에 대한 논변." 동양한문학연구, 41.(2015): 183-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