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완산부지도10곡병풍』에 재현된 古都 전주

이용수 356

영문명
A Study on Jeonju represented on the「Wansanbu 10-gok Byeongpung Jido」(10-folding Old Map of Jeonju)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김기혁(Kim Ki-Hyuk)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41輯, 37~6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19세기 말에 제작된 완산부10곡병풍지도를 통해 재현하고자 하였던 전주부의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지도는 19세기 조선사회에서 제작된 병풍식 회화지도 중 주기면이 첨부된 유일한 것이다. 지도 구성에서는 다른 전주부 지도와는 다르게 남쪽을 오른쪽에 배치시켰다. 전주성을 지도의 중앙 우측에 배치시키고 중앙을 여백으로 처리한 것은 다른 지도에서 전주성을 중앙에 배치한 것과는 매우 다르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해 지도를 읽는 이의 시선은 지도의 오른쪽부터 시작되어 자연스럽게 왼쪽 방향으로 향한다. 장소의 묘사에서는 원근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여백을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 산지로 둘러싸인 모습과 중앙 좌측에 묘사된 하천 유역의 여백은 고을의 평화로움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중앙 우측에 그려져 있지만 내용상 중심인 전주성의 모습은 다른 지도에서 구현하지 못했던 치밀함을 갖추고 있다. 성곽의 성벽 뿐만 아니라, 객사, 선화당, 동헌 등의 건물과 함께 경기전, 조경묘의 모습이 세밀하게 그려져 있으며 이와 함께 관아 사이로 묘사된 민가들은 민본을 중시했던 조선의 이념을 보여준다. 지도에서 상세히 묘사된 남고산성은 후백제의 역사 공간이 전주부의 지리에 중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양쪽에 주기면을 첨부한 것은 주관적으로 해석한 고을의 모습과 텍스트로 표현된 객관적인 내용을 동시에 보여 줌으로써, 지도에 담긴 내용이 허구가 아님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로도 볼 수 있다. 주기면에는 조선 정치 권력의 태생지임을 암시하는 텍스트가 곳곳에 담겨있다. 지도와 주기 내용을 종합하여 볼 때『완산부지도』는 지리 지식의 편집을 통해 조선 정치 권력의 정신적 지주였던 풍패지향 전주부의 모습을 구현하고, 동시에 후백제의 도읍이었음을 보여줌으로써 19세기말 당시 전주부가 지향하고자 했던 모습을 재현하고자 한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age of Jeonju-bu represented on the「Wansanbu 10-gok Byeongpoong Jido 」(『完山府十曲屛風地圖』) mapped in the late-19th century. Jeonju is native county of King Taejo Lee Sung-gye who established Joseon dynasty.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1) Among pictorial maps which mapped Jeonju-bu, this map is the largest map in terms of scale. And form that picture is combined with regional geography is the unique style among all folded pictorial county maps which is made in the same period. 2)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in map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county maps. The right side of picture is to the south direction in contrast to other maps in which upper side is to the north. This composition of direction is come from folding-form of map. 3) Jeonju-castle is pictured on the right side from center comparing from the other maps in which castle is pictured in the center. Number of place names are very small comparing with its size. Density of place names on map is decreased from the right to the left side and part of left side remained spaces without place names. These composition of picture shows that mapper lead the readers' eyes from the right to the left. 4) Jeonju castle is pictured in a greatest details comparing with other maps. Government office with private house is depicted with details. Private house in the castle means that state always protect peoples in terms of Confusian politics ideology. 5) Texts in the 1st and 10th folds is from the regional geography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Because of shortage of space, informations in the regional geography were selected in terms of mapper's purpose for this maps. The contents are related with the King Tajo Lee Sung-gye. Those comprehensive analysis shows that this map is for the representation of regional geography of Jeonju-bu and the heart of politic center of Joseon dynasty simultaneously.

목차

1. 들어가면서
2. 지도의 구성과 지명
3. 전주성 묘사 내용
4. 주기면 내용
5. 종합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혁(Kim Ki-Hyuk). (2015).『완산부지도10곡병풍』에 재현된 古都 전주. 동양한문학연구, 41 , 37-65

MLA

김기혁(Kim Ki-Hyuk). "『완산부지도10곡병풍』에 재현된 古都 전주." 동양한문학연구, 41.(2015): 3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