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は日本語でいかに現れるか - そのあり方及び条件
이용수 23
- 영문명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이종화(李宗和)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61輯, 151~1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本稿は 우리 の韓日対応におけるあり方と条件に関して考察している。
韓国語では通常相手や特定の対象との関係から連帯感を重要視して1人称
複数形 우리 が頻繁に用いられ、文脈的にもあまり制約がなくて幅広く現
れる。これに対して日本語は、1人称複数形は多種多様であるが韓国語ほ
ど頻繁に用いられてはいない故、時にはこれらの様相が韓国人学習者の誤
用へつながることも少なくない。韓国語での 우리 は、個人よりは集団内
の利益を大事にする韓国人の民族意識の言語的発露という点と無縁ではな
い。 우리 の日本語への対応は大きく三分類されるが、1人称語の対応、1
人称語以外の対応、無対応である。1人称語の対応は日本語の多様さに
よって韓日対応にさらなる使い分けが必要とされ、丁重度や話し手の性別
が関ってくる。1人称語以外の対応では話し手の感情等との関連性が深
く、無対応は場面上動作の主体が分る時現れる。
キーワード:우리、韓日対応、1人称語対応、1人称以外の対応、無対応
목차
1.はじめに
2. 우리 と日本語の1人称語の意味
3.先行研究
4.韓国語における 우리 の頻用と原因
5.韓日対応
6.対応上のまとめ
7.おわりに
参考資料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広告」 및 그 関連語彙에 관한 一考察
- 소도(素堂) 한시문의 평측(平仄)연구
- 芦刈幻想と西鶴
- 일본 미카와치 도조신사의 신이 된 조선인
- 동일본대진재와 단카, 하이쿠
- 戦後初期日本の発展についた一考察
- 조선통신사 정보와 일본 근세연극(통신사 행렬을 중심으로)
- 다나카 우메키치와 조선총독부편 『조선동화집(朝鮮童話集)』 고찰
- 민족운동가 배중도의 내러티브(Narrative)를 통한 재일한인 1세대 디아스포라의 삶과 애환
- 日ㆍ韓の衣服着用動詞と副詞との構文論的関係
- 문장체에서의 일본어 접속사
- 百濟 銅鏡 銘文이 보여주는 道敎思想
- 청중의 탄생-야나기 가네코(柳兼子)의 '조선을 노래하다'
- 오에 겐자부로 『取り替え子』에 나타나는 「皮剥ぎ」의 모티프
- 映画人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고찰
- 일본어 학습자의 초급형용사의 의미 인지도
- 江戸前期の『伊勢物語』注釈書について
- 「ことㆍの」와 복합조사 고찰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신햄릿(新ハムレット)』론
- 「우리」は日本語でいかに現れるか - そのあり方及び条件
- 일한 적절표현형의 대조적 고찰
- 거절장면에서의 「から」 「ので」의 사용실태 연구
- 日本における深夜テレビアニメのストーリー分析
- 한ㆍ일 공감각(共感覺) 오노마토피어 의미확장 패턴 분석
- 근세일본어 동사원형의 의미와 용법
- 日帝末期 道具化된 初等音樂敎育
- 화수분설화의 한일 비교
- 나가사키 하시마(군함섬)를 둘러싼 로컬 기억의 생산과 정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