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가 노인의 가정환경문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4

영문명
A Study of Environmental Hazards in the Homes of Older People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이꽃메(Ggod me Yi) 김은영(Eun young Kim) 김희걸(Hee girl Kim) 박은옥(Eun ok Park) 소애영(Ae young So) 전경자(Kyung Ja June)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1권 2호, 179~19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가정환경문제 현황을 파악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라 가정환경 문제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999년 11월에서 2000년 1월까지 1개 대도시, 1개 도농통합시, 1개 군의 65세 이상 노인 452명을 대상으로 '재가노인기능상태평가도구(MDS-HC) 2.0'을 이용하여 ① 저녁시간의 조명, ② 마루바닥과 장판, 카펫트, ③ 욕실과 화장실, ④ 부엌환경, ⑤ 난방과 냉방, ⑥개인 안전 ⑦ 집 밖 출입, ⑧ 방 출입의 8개 항목에 걸쳐 가정환경문제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42.9%에서 1개 이상의 가정환경 문제가 있었으며, 23.5%에서 2개 이상의 문제가 있었고, 가장 흔한 문제는 욕실과 화장실 영역이었다. 여자노인에게서 개인안전과 집밖출입에 있어서 남자노인에 비해 문제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루바닥과 장판, 욕실과 화장실, 난방과 냉방, 3개 항목은 도농통합시에 가장 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보험 대상자보다 의료보호 노인에게, 통합시나 군에 거주하는 노인보다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에게,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보다 독거 노인에게 가정환경문제가 유의하게 더 많았으며 연령, 성, ADL수준에 따른 가정환경문제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기능상태에 적합하도록 주택의 구조와 설비를 개선시켜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혀야 할 것이며,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노인가정환경관리 직무지침의 개발과 선진국에서와 같이 주택구조의 개선 및 설비 비용에 대한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por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home environmental hazards of older people and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these hazards by age, sex, medical security type, region, family type, and ADLs. Methods: An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completed in the homes of 452 persons over 65 years by using the MDS-HC. Prevalence rates were calculated for each of the potential hazards and subsequently compared among subgroups of participants characterized by age, sex, medical care type, region, family, and ADLs. Results: Overall, the prevalence of most environmental hazards was high. 42.9% had at least 1 potential hazards and 23.5% had more than two hazards. The most common hazard(31.4%) was found in bathroom and toilet room. Older people with medicare living in metropolitan city, who lived alone, had more environmental hazards than ot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s of environmental hazards by age and sex. Older people who had difficult and disability in ADLs were no less likely to be exposed to environmental hazards than others. Conclusions: Environmental hazards are common in the homes of community-living older people. It was sugges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ome environment improvement to the home care service providers and the policy maker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꽃메(Ggod me Yi),김은영(Eun young Kim),김희걸(Hee girl Kim),박은옥(Eun ok Park),소애영(Ae young So),전경자(Kyung Ja June). (2001).재가 노인의 가정환경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1 (2), 179-190

MLA

이꽃메(Ggod me Yi),김은영(Eun young Kim),김희걸(Hee girl Kim),박은옥(Eun ok Park),소애영(Ae young So),전경자(Kyung Ja June). "재가 노인의 가정환경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1.2(2001): 179-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