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대상 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이용수 4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Refugee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김세라 양성은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20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fuge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and apply it in daycare center settings to examine the reactions of children aged 5.
Methods: Referring to Kemmis and McTaggart(1988) action research model, the refugee education program recommended by UNHCR, and linking it with the national Nuri-curriculum in Korea, a total of five sessions of a refuge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20 children aged 5. Results: The application of the preschool refugee education program resulted in positive chan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These changes provided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o practice respect towards others, fostering a broad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diverse cultur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contributing to the discourse on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refugee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fugee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stimulate in-depth discussions on educational approaches that foster early childhood interest in global issues and cultivate a sense of global citizenship and attitude in the future.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보육현장 지원정책 제안
- 유아 대상 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어린이집 자율관리를 위한 조직역량 진단도구(S.T.E.P+)의 개발 및 타당화
-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놀이 관련 특성이 2세반 영아의 상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1세반 영아와 그림책의 만남: 내부작용을 통한 의미생성의 관점에서
- 유아의 영상미디어 시청시간과 취침시간이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채널 선택권과 부모의 제한형 미디어 중재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 유아교사 대상 교사교육 실행 연구 동향: 2013∼2023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음악-수학 통합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 저출생 문제해결을 위한 한자녀 기혼여성의 후속 출산의향 예측: 머신러닝 방법의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