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ncounter between Infants in a 1-Year-Old Daycare Class and Pictur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through Intra-action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이승연 김유미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20권 제2호, 59~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ra-action between infants and picture book reading in a daycare setting, aiming to gain new insight into infants' reading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2 infants from the Bluebird Class (1-year-old) at A Daycare Cent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ontext and flow of the infants’ experience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sessions, held three to five times a week, in the morning, from December 19, 2022, to February 17, 2023.
Results: Firstly, infants engaged in the intra-action with symbols such as text, images, lines, colors, and latent narratives in picture books, spontaneously encountering meaning-making. Secondly, they explored the potential of materials such as their own bodies, the dacare classroom environment, and blocks, creating narratives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Thirdly, infants generated shared experiences by creating interactions with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daycar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a shift in perspective, recognizing infants as active readers who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ultivating an infant-centered environment and the meaningful role of teachers in supporting and facilitating such an environment.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보육현장 지원정책 제안
- 유아 대상 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어린이집 자율관리를 위한 조직역량 진단도구(S.T.E.P+)의 개발 및 타당화
- 영아의 기질과 교사의 놀이 관련 특성이 2세반 영아의 상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1세반 영아와 그림책의 만남: 내부작용을 통한 의미생성의 관점에서
- 유아의 영상미디어 시청시간과 취침시간이 집행기능곤란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채널 선택권과 부모의 제한형 미디어 중재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 유아교사 대상 교사교육 실행 연구 동향: 2013∼2023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음악-수학 통합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제
- 저출생 문제해결을 위한 한자녀 기혼여성의 후속 출산의향 예측: 머신러닝 방법의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