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後期 神聖觀念의 변동과 특성

이용수 249

영문명
Transformation and Features of Sanctity Ideology in Later Koguryo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윤상열(Yune, Sim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8號, 307~355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복원된 고구려 후기 왕호에 따르면, 왕실의 신성성을 강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불교적 요소를 도입했으며 이전 시대에 비해 태양적인 요소가 강조됨으로서 상대적으로 위상이 하락되는 현상이 감지되나 동시에 왕실로 신성관념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고구려 후기 시조묘 제사의 분석 결과, 고구려인들은 2월을 정상적인 치제의 시기로 간주했으며, 그 외의 방문기간은 예외적으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서기 6세기에서 7세기의 중국기록은 고구려의 神들을 중요도 순으로 적고 있다. 하지만 유화신이 시조신보다 앞서 기재된 상황은 사실성이 기반을 둔 것이 아닌 다분히 중국 측의 의도성이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역으로 중기에 확립된 천신의 지모신에 대한 우위성이 후기에도 유지되었음을 보여준다. '부여신'이라는 용어는 부여에서 숭앙되던 신의 뜻이 아니라 유화의 생애를 반영한 것으로 사료되고, 494년을 전후로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부여신과 항상 동반되는 '등고신' 역시 같은 시기에 개명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고구려 후기에는 10월 동명제 기간 동안 다양한 신들이 숭앙되었다. 7세기에 접어들어 등고신이 '일(천)신'으로 다시 바뀌어 나오는 현상은 5세기 고구려의 시대정신을 되살리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인 것으로 본고에서는 추론했다. 이 시기 '가한신'이나 '기자신'등의 외래 신격들이 고구려의 제사체계로 편입된 것도 이러한 유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움직임의 원인은 7세기 당대 중국과의 대결이 임박하면서 사상적으로 정비하는 연장선상에 기인한 것으로 본고에서는 결론지었다. 고구려 후기 신성관념을 당대의 종교적 동향과도 연관 지어 살펴본 결과, 유교가 비교적 전통신앙과 무리 없이 융화되었던 반면 불교는 7세기에 들어 쇠퇴가 감지되는데, 사료적 특성에 의거한 변수가 있지 않은 이상 앞으로의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restored Koguryo royal titles of later years suggest there were some signs of Buddhist influence in enhancing royal sanctity, as well as showing declining status in comparison with their predecessors, which phenomenon was accompanied by the expansion of holiness idea into the royal family. When analyzing the records of the founder shrine ritual, it is revealed that Koguryo people may have regarded February as the normal period for such occasion, whereas April, birth-month of the founder, was chosen as the king's visit to the shrine in times of more desperate situation. Chinese records of 6th to 7th century Koguryo rituals wrote Koguryo gods in the sequence of importance. However, god of the founder-mother came before the founder himself because of certain Chinese intentions and not based on fact. This reversely indicates that the supremacy of the Heavenly god, which represents the founder, over the founder-mother god, who represents mother Earth and river, was well maintained into later Koguryo era. The term 'Buyeo god' does not seem to derive from its ethnicity, but merely a manifestation of founder-mother's origin, the place where she stayed for the most of her life. Also, this name may have been created around the year 494 A.D., and the new title of 'Deung-ko' god, formerly founder-god, was also given accordingly. Meanwhile, various deities were celebrated on the annual October festival of Koguryo. The transformation of the title 'Deung-ko' god into sun-god in the 7th century was inferred to have been the legacy of the 5th century, when Koguryo reached its zenith of power in northeast Asia and formed a cosmopolitan empire. Incorporation of divinities with nomadic or Chinese origins into Koguryo's ritual system in the 7th century may also have stemmed from certain nostalgic movements, which were essential to the contemporary need to combat Chinese threat externall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王號의 존재양태
Ⅲ. 제사체계의 변동
Ⅳ. 신성관념의 후기적 특성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상열(Yune, Simon). (2014).고구려 後期 神聖觀念의 변동과 특성. 백산학보, (98), 307-355

MLA

윤상열(Yune, Simon). "고구려 後期 神聖觀念의 변동과 특성." 백산학보, .98(2014): 307-3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