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성천 유역 구석기유적의 성격

이용수 334

영문명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Anseong-cheon Area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이정철(Lee, Jung-Chul)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8號, 195~222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안성천 유역에서 200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발굴조사된 주요 유적을 대상으로 입지과 유물층의 특징을 확인하고, 또한 석기구성 및 석기공작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이 지역 구석기유적의 성격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안성천 일대의 구석기유적은 대부분 저기복 구릉의 사면에 위치한다. 유물층은 퇴적의 심도에 따라 크게 다섯 매가 확인되며, 자연과학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략적인 시기 구분을 진행하였다. 표토층과 가까운 첫 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의 모층으로 MIS 2기, 두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으로 MIS 3기의 후반부, 세 번째 유물층은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 하부로 MIS 3기 전반부 후반, 네 번째 유물층은 흐릿하고 불연속적인 수직구조 또는 제2의 쐐기구조가 발달한 층으로 MIS 3기 전반부, 다섯 번째 유물층은 조립사와 암편이 섞인 층으로 MIS 3기 전반부나 그 이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의 유적은 MIS 2기~MIS 3기에 해당될 가능성이 농후하며, 이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구석기시대 편년에 대입할 때 중기 구석기시대 후반에서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유물층별 석기구성과 석기공작의 변화를 통해, 대체적으로 이른 시기에 속하는 유물층에서는 찍개 등의 대형석기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며, 늦은 시기에는 긁개와 홈날을 중심으로 하는 소형석기가 우세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한반도 중부의 여러 지역에서 연구된 결과와 유사하며, 따라서 안성천 유역도 우리나라 구석기문화의 보편적인 양상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안성천 유역에서는 MIS 3기 동안 지속적으로 찍개의 빈도가 강하게 나타나는 바 이를 지역적 석기공작의 한 양상으로 이해할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그 과정에서 서해와 인접한 하천의 하구에 위치하는, 즉 지리적인 특성이 유사한 지역의 자료와 대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henomena of the paleolithic sites by identify characteristics of landform and artifact layers and changes in composition and industry of stone tools based on major sites excavated in Anseong-cheon area. Most of the paleolithic sites in Anseong-cheon area are located in the slopes of the low line of hills. Five artifacts layer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depth of sedimentation and period was roughly established by scientific analysis. The layer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the first artifacts layer near surface layer from which soil-wedge is originated belongs to MIS 2, the second artifacts laye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oil-wedge belongs to the second half of MIS 3, the third artifacts layer, the bottom part of the laye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oil-wedge belongs to the second quarter of MIS 3, the fourth artifacts layer showing dull and non-consecutive vertical marks or showing the development of second soil-wedge belongs to the first half of MIS 3, and the fifth artifacts layer made up of coarse sand and rock fragments belongs to the first half of MIS 3 or before.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most of sites belong to MIS 2 and MIS 3. Considering chronology of Paleolithic period in Korea, it falls between late middle Paleolithic and upper Paleolithic. In the composition and industry of stone tools by artifacts layer, in early layers the ratio of heavy duty tools such as chopper-shopping tools was higher, while in late layers light duty tools such as scrapers and notches were predominant. Such aspects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various regions in the centra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nclude common aspects of culture of Paleolithic in Kore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유적 개관 및 검토
Ⅲ. 입지 양상과 유물층의 구분
Ⅳ. 석기구성과 석기공작의 변화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철(Lee, Jung-Chul). (2014).안성천 유역 구석기유적의 성격. 백산학보, (98), 195-222

MLA

이정철(Lee, Jung-Chul). "안성천 유역 구석기유적의 성격." 백산학보, .98(2014): 195-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