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李丙燾 韓國古代史 硏究의 '實證性' 檢證

이용수 750

영문명
Proof Verification of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ed by Byeongdo Le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李道學(Lee, Do-Hack)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8號, 103~166쪽, 전체 6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10,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실증사학의 비조로 일컬어지고 있는 李丙燾 史學의 중심적인 論考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이병도가 제기한 歷史地理 比定의 많은 부분은 후학의 呼應을 얻지 못하였다. 이병도가 得意에 찼던 三韓 중 辰韓의 위치비정은 말할 것도 없고, 風納洞土城=蛇城說 등 숱한 論考들이 現今에 와서 무너져 내리고 말았다. 이병도의 역사지리 비정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音相似에 의한 比定이었다. 傍證정도의 방법론을 핵심 근거로 삼은 결과 誤導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병도는 音相似를 과도하게 사용한 관계로 논지의 핵심 要諦가 된 경우가 많았다. 그로 인해 훗날 고고학적 방법론과 같은 새로운 자극이 발생하면 의외로 쉽게 논지가 붕괴되고는 했다. 이병도 史學은 '堅固'해 보이지만 의외로 허술한 면이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두계의 漢四郡 비정만은 적어도 한국의 講壇 史學에서는 통설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점 奇異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해방 이전은 물론이고 해방 이후에도 적어도 남한 사학계에서는 한사군의 위치에 대한 새로운 비정은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다. 대신 그 역할은 소위 在野史學者들의 몫이 되고 말았다. 가령 燕將 秦開가 고조선을 침공하여 진출한 界線을 박천강으로 설정했고, 평양에서 출토된 秦戈를 토대로 全燕시대에는 그 후 어느 때 대동강까지 진출한 것으로 간주한 이병도 설은 여전히 未檢證 상태라는 점이다. 필자는 이병도 史學 중 歷史地理분야에 대한 평가를 의뢰받고 집중적인 분석을 시도한 후 苦心 끝에 내린 결론은 李丙燾 史學에서 '實證'은 없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I've examined the central assertion of Byeongdo Lee's historical studies, which is called the father of The Korean Evidential History. In consequence, much of his estimation of geology history hasn't widely been accepted by youth. Not only highly elated Lee's estimation of Jinhan(辰韓) sites among the Three Hans(三韓) but also many other arguments, such as Poongnap earthen castle(風納洞土城)=a view that Poongnap earthen castle was the military (蛇城說) have camedown in now. One of his estimating location features was related to etymology studies, reviewing similar sounds. The conclusion was misled with a result of using circumstantial evidences as the core grounds. Because Lee applied etymology studies excessively, it often became the key point in arguments. Therefore this kind of thesis fell down easily when a new stimulation occurs like archeological methodology.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Lee seemed sturdy but actually they were fragile. In spite of that, estimated sites of Hansagun(漢四郡) has been the commonly accepted view in the mainstream. It is bizarre. New estimation of Hansagun location was hardly attempted in South Korean ancient history after liberation, not to mention before liberation. Instead, the roles fell to what we call unofficial historians. They set the boundary line where Yan general Jingae(燕將 秦開) had attacked Gojoseon(古朝鮮), to Bakcheongang (博川江). And even in Yan period(全燕), on the basis of Jin spear excavated from Pyeongyang(平壤), they considered that China advanced to Daedonggang(大同江) after that. Still these theories of Lee remain untested. I've received a request about geology history of Lee's historical studies and tried extensive analysis. I made the decision that there's no proof in his studies after thinking it over thoroughl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古朝鮮史 硏究-衛滿의 族元 問題를 중심으로 한 檢證
Ⅲ. 夫餘史와 '東明'에 대한 考證
Ⅳ. 三韓의 位置 比定 問題
Ⅴ. 高句麗史의 歷史地理 比定 檢證
Ⅵ. 百濟史에 대한 考證
Ⅶ. 『三國志』 東夷傳 韓 條 및 新羅와 加羅史 考證
Ⅷ.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道學(Lee, Do-Hack). (2014).李丙燾 韓國古代史 硏究의 '實證性' 檢證. 백산학보, (98), 103-166

MLA

李道學(Lee, Do-Hack). "李丙燾 韓國古代史 硏究의 '實證性' 檢證." 백산학보, .98(2014): 10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