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소설에 나타난 ‘집’ 연구

이용수 286

영문명
A Study on "a House" in Domestic Novels -Aiming at and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탁원정(Tak, Won-J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2권, 407~450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정소설은 인간 존재와 삶의 가장 현실적이고 일상적 공간이자 당대 사회의 원형적 공간인 ‘집’을 중심으로 사건과 갈등이 전개된다. 이는 비일상적이고 비현실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건에 주목해 왔던 기존의 소설들과는 다른 공간 영역을 구축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런 점에서 ‘집’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가정 소설의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 주는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전제 하에 가정소설의 대표적 작품인 <사씨남정기>와 <창선감의록>을 대상으로, 작품 속의 ‘집’에 대한 본격적인 공간론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두 작품의 중심이 되는 ‘집’의 공간 구도를, 안채 공간의 위계 구도인 중심/주변 공간 구도와, 안채와 바깥채의 분할 구도인 안/밖 공간 구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두 작품에서 여성 공간의 중심/주변 구도는, 여성 인물들의 공간 확보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사건과 갈등을 유발하고, 나아가 중심과 주변에 속한 인물 관계 혹은 구도 자체가 전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창선감의록>에서 여성 공간의 중심/주변 구도는, 공간화되지는 않았지만 잠재되어 있는 長次子간의 남성 위계 구도와 긴밀히 연결되고 있었다. 남녀의 안/밖 구도는 성별과 관련된 것이니 만큼, 문제적 인물들의 사통과 같은 문제적 행위와 긴밀히 연결되고, 자연스럽게 공간 구도와 그 질서의 혼란, 파괴를 가져옴으로써 집 자체의 위기를 드러내고 있었다. 집의 공간 구도를 통해 볼 때, 두 작품에서 집은 일반적인 의미의 ‘내’ 공간이 지니는 외부 공간에 대한 보호성이나 안정감, 친밀감 등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는 집의 부정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특히 인물들의 행위지표를 통해 잘 나타난다. 두 작품에서 집은 먼저, 구성원의 소외를 불러오는 공간이다. 부부 관계에서 소외의 가장 단적인 공간적 지표는 ‘공방이며, 그 행위 지표는 ‘찾아가기’와 ‘기다리기’가 대립적 짝을 이룬다. 또한 두 작품에서 ‘소외’는 구성원들에게 좌절과 상실을 맛보게 하고 동시에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의지를 자극하는데, 이는 경쟁자의 결점이나 문제를 찾아내기 위한 ‘엿듣기’와 그것을 모함으로 옮기는 ‘고해바치기’의 행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엇보다 집이 지니는 부정성의 극대화된 양상은, 그 구성원을 집 안에 있을 수 없게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집의 성격은 ‘가두기’/ ‘갇히기’와 ‘나가기’/‘내보내기’의 대립적 행위 지표들로 나타났다. 특히 이 과정에서 집이라는 공간이 가부장제의 원리에 철저히 지배받는 공간이며, 폐쇄적, 배타적인 원리가 투영된 닫힌 공간이라는 것이 함께 드러났다. <사씨남정기>와 <창선감의록>에서는 일상의 대표적 영역인 집이 소설의 중심공간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남녀 공간의 구분으로 인해 여성 공간으로 서사가 집중되면서 여성 공간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여성 공간의 실상이 드러나기보다는 사건과 갈등 위주로 재구성되고 있다. 그 속에서 집 안을 존재 기반으로 하는 여성 인물들 간에 내몰리느냐 살아남느냐 하는 심각한 갈등이 초래되며, 이처럼 생활이 곧 생존 투쟁이 되게 하는 집에서 일상 공간으로서의 면모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같은 시기의 가문소설인 <소현성록>에서 여성 공간의 실상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집의 일상성이 부각되는 것과 대비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close relations between human and space in society of the day, this study purposed to progress a full-scale space theory aiming at "a house", which was both the most realistic and usual space of human beings and life and a prototypical space of the da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d , both of which are representative domestic novels. First of all, in both novels, main/peripheral composition of female space causes affairs and conflicts connecting closely to problems of women characters securing space. Moreover, relations between main and peripheral characters or composition itself showed aspects of being reversed. Since inner and outer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was related to gender, it was connected closely with problematic behavior such as adultery of problematic characters, and naturally revealed crisis of a house itself by bringing space composition and disorder and breakdown of the order. Next, in both novels, house did not show protection from outer space, stability and intimacy that "my" space has as general meanings, which revealed impurity of a house. It was indicated well from behavior index of characters. In both novels, a house is space which brings about alienation of members, and with regard to the behavior index, "visiting" and "waiting" formed opposing counterparts. Above all, however, an aspect of maximizing impurity of a house was what made members not stay in the house. Such characteristics of a house were seen from opposing behavior index like "confining"/"being confined" and "going out"/"sending out". In this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the space of a house was space which was ruled thoroughly by the principle of a patriarchal system and a closed space in which closed and exclusive principles were reflected. In and , serious conflicts whether being forced out or surviving between women characters who existed based on the house were caused in the house, the representative area of daily life. Likewise, in a house which made life a struggle for existing, it was difficult to find aspects as a usual space. In addition, in the process, female space stood out in relief but it was just reorganized based on affairs rather than actual conditions were describe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집’의 공간 구도: 여성 공간의 ‘중심/주변 구도’와 남녀 공간의 ‘안/밖구도’
3. 부정성의 ‘집’과 행위 지표
4. 여성 공간의 부각과 일상성의 결여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탁원정(Tak, Won-Jong). (2005).가정소설에 나타난 ‘집’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 , 407-450

MLA

탁원정(Tak, Won-Jong). "가정소설에 나타난 ‘집’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2005): 407-4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