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속요의 존재방식으로 본 여음考

이용수 180

영문명
A Study on the Refrain of Koryeo Sokyo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정종진(Jeong, Jong-Ji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2권, 373~40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고려속요 여음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음을 작품구조 속에서 재평가 하여, 여음이 고려속요 존재방식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고려속요에서 여음은 그 자체로는 의미가 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일단 고려속요라는 시가작품 속으로 들어와 시적 구성요소가 됨으로써, 작품의 다른 단위들과 상호관련을 맺게 된다. 그래서 여음은 하나의 통일된 전체로서의 시가작품을 구성하는 기능적 단위가 된다. 고립된 것으로의 여음은 의미가 없는 것이고, 또 여음의 존재가 없는 고려속요는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여음은 本詞部와 함께 고려속요를 구성하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고, 고려속요는 여음에 의해 그 존재방식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여음이 고려속요 형성時 改編의 원리로 작용하여 형식구성의 틀이 되고 있음을, 여음에 의한 작품들의 형태 분류를 통하여 보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여음은, 여음자체의 음성적 속성에 의한 리듬효과뿐 아니라, 본사부의 음보율격과 起伏을 같이 하거나 일정 위치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면서, 작품전체를 통해 통일된 리듬구조를 이루어, 작품을 하나의 선율구조로 인식되게 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음은 형식‧리듬뿐 아니라 의미론적인 측면에서도, 고려속요의 필수적 구성요소가 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alue the refrain of Koryeo Sokyo aspect how the refrain is organically related with the structure should be examined and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refrain are also verified. In Koryeo Sokyo, the refrain itself has no meaning. But once it is composed of the structural element, the refrain is concerned with the other units. So the refrain becomes the functional unit in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When it is isol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work, the refrain can not be justified its existence. And owing to the refrain, Koryeo Sokyo is brought to completion. The refrain is the frame of poetic formation and becomes the principle of the modification in the versification. Next, the refrain makes the work melodious structure as it is repeatedly appeared with the metrical scheme of main body in addition to the rhythmic effects. Finally, in the semantic level the refrain is the essential element of Koryeo Sokyo. The way of constructing the dynamic signification is presented by the mediation and substitution function in the meaning structure. By this, the refrain organizes the semantic relation among the parts and in itself achieves the semantic fun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고려속요 존재방식으로서의 여음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종진(Jeong, Jong-Jin). (2005).고려속요의 존재방식으로 본 여음考.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 , 373-405

MLA

정종진(Jeong, Jong-Jin). "고려속요의 존재방식으로 본 여음考."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2005): 373-4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