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閨恨錄>의 구조적 특성과 여성 서술자의 기능 고찰

이용수 181

영문명
The study on the structural traits and the function of woman narrator of Kyuhanlock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정경(Kim, Jung-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2권, 101~131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규한록>은 고산 윤선도의 八代 宗孫婦인 이씨부인(1804年 3月15日~1863年 7月8日)이 자신의 시어머니에게 보낸 편지글이다. 규한록에 대한 기존 논의는 대체로 조선시대 사대부 여성의 규범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간의 분열 양상을 설명하는 데에 집중해있다. 텍스트의 표면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분열이 서술자 혹은 당대 사회의 어떠한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되었는가를 밝혀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는 조선시대 사대부 여성의 정체성이 당대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드러내는 한 지점이라는 전제를 증명하고자 하는 작업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규한록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각각은 동일한 스토리의 확대, 반복, 삭제의 양식으로 짜여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사건들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양상을 띤 규한록은 공간적 순서에 따라 네 개의 거시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미시적 단위로부터 거시적 단위에 이르기까지 서술자는 자책과 원망을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텍스트에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네가지 사건을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적 신화 분석의 방법을 참고로 하여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규한록>의 표층에서 반복되는 네 가지 사건의 변주는 사멸과 번식 그리고 파괴와 유지 사이의 모순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혀냈다. 다시 말해 텍스트는 사멸에의 충동과 번식에의 욕망이라는 극복할 수 없는 모순과, 위계질서의 파괴와 그것의 유지라는 공존할 수 없는 모순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순 관계 속에서 서술자인 사대부 여성이 담당하는 기능은 한마디로 죽음과 삶을 매개하는 것이다. 또한 그녀는 한자는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글을 사용한다는 면에서 양반 사대부 사회와 종들의 집단을 매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녀는 양반 사회와 종들의 집단 사이에, 문화와 비문화, 질서와 비질서 사이에 끼인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규한록의 텍스트적 분열, 혹은 이중성은 여성의 이러한 매개적 존재방식의 서술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s a letter written by Ms. Yoon, the daughter-in-law of Yoon, sun-do. Until now, the studies about that have been focused on the aspect, the seperation between ego and supereg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cause of these split. can be divided into 4 macro-sequences, and each sequence is textualized by reputitions. So we can say that is abide by the rule of spacial order. This study found that is characterized with the contradiction, life/death and nature/culture. In shorts, noble women in 19th century were media. Their function was connecting the contradictions. They he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repose of their ancestors and this meant connecting life and death. And they used Korean letters not Chinese letters and this meant connecting nature and culture or the society of noblemen and the group of servants. So we can say that the textual separation or contradiction is the narrative expression of women as medium.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동일한 서사소의 규칙적 배열과 서술 태도의 이중성
3. 공존할 수 없는 모순과 여성 서술자의 매개적 기능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경(Kim, Jung-Kyung). (2005).<閨恨錄>의 구조적 특성과 여성 서술자의 기능 고찰.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 , 101-131

MLA

김정경(Kim, Jung-Kyung). "<閨恨錄>의 구조적 특성과 여성 서술자의 기능 고찰."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2005): 101-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