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홍수와 목도령>에 나타나는 창조신의 성격

이용수 749

영문명
The Character as Creator of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오세정(Oh, Se-J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2권, 271~303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과 세계 등의 창조를 이야기하는 창세신화는 <창세가>와 같은 1차적 창조를 다룬 이야기가 있는 반면, 홍수로 인해서 구세계가 멸절하고 새로운 세계의 인간 시조가 탄생하는 것을 다룬 이야기가 있다. <대홍수와 목도령>은 기존의 인간세계가 홍수로 멸절하게 되자 천상 선녀와 목신 사이에서 태어난 목도령이 새로운 인류의 시조가 되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의 중심 의미와 문화적 함의는 단연 주인공 목도령을 통해서 형성되며, 그를 통해서 창조신 내지 인류 시조의 성격을 살필 수 있다. 목도령은 신성한 존재들의 신성혼을 통해서 탄생했지만 천상보다는 지상의 가치를 선택하며, 뭍에서 만난 여성과 혼인하여 인류의 시조가 된다. 자신은 지상을 기반으로 한 자동 지생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이후 인간은 남녀 결합을 통해서 번식시킨다. 이는 인간의 시조인 주인공과 이후 그 후손인 일반 인간의 탄생원리가 차별화됨을 의미한다. 목도령의 존재론적 자질과 위상은 탄생 원리뿐 아니라 경쟁자인 소년과의 대립을 통해서 잘 나타난다. 소년이 세속적 가치와 인간적 한계를 표상한다면, 목도령은 자연적 가치와 초월적 능력을 표상한다. 이 같은 인물의 성격은 건국 신화의 주인공들과 유사하다. 특히 목도령은 주몽과 흡사한 자질을 보여주는데, 다른 신성한 주인공들과 달리 복합적이고 불완전한 존재라는 점이 변별적 특징이다. 절대적 창조신이 사라진 시대, 타락과 몰락의 지표를 가진 인간들에게 필요한 창조주체는 바로 목도령과 같은 반신반인의 문화영웅이다. 새로운 인간세계에 절박한 가치인 생명력과 창조력은 바로 이 같은 양가적이며 복합적인 목도령의 존재론적 자질에 기인한다.

영문 초록

The creation myths tell how the world has been created and how can be in existence, so they mean a lot to us to study thought-system in mythology and traditional stories. In there is the primary cre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creation as the new progenitor of the human race after a big flood in the flood myth. In the , there is the hero who was born of the fairy and divine tree(god of tree), he became the progenitor of the mankind. The main significance and important cultural meaning could be constructed by the researching the character and feature of hero, Tree-boy. On the surface, the hero reproduction by the male and female, but he sought after the value of the earth. His birth-principle stood for the autochthonous. His the paternal side represents the tree and plant which symbolize the life force and wealth. This character of the male line also shows the creativity and rhythmical life cycle. The new progenitor, Tree-boy had to realize that value and provide humane whose own corrupt nature has completed his ruin with vitality and purgation. The hero of this story has the complex and incomplete character and distinguished features, the birth principle, identity relation with his mother and father and with other human being, etc. Especially Tree-boy's character is shaped up opposition to the human boy who was rescued from drowning by him but made him suffer. The human boy symbolizes the secular value and the limitations of human faculty, Tree-boy symbolizes natural and divine value and transcendental faculty. Tree-boy has some similarities between cultural heroes founding the countries in Korean founding myth, specially Choomong(주몽). Two heroes common have the incompatible features divine and human character, they are representative Demigod in Korean narrative tradition. The necessary feature of the new progenitor at the fatal crisis, the creativity and vitality are rooted in his ontological character.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창세ㆍ홍수신화의 특성과 관계 양상
3. 목도령의 정체성과 문화적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정(Oh, Se-Jeong). (2005).<대홍수와 목도령>에 나타나는 창조신의 성격.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 , 271-303

MLA

오세정(Oh, Se-Jeong). "<대홍수와 목도령>에 나타나는 창조신의 성격."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2005): 271-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