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문헌 설화의 여성 전형 연구

이용수 437

영문명
A study on the stereotypes of women in the late chosun short narrative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윤예영(Yoon, Yae-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2권, 305~346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문헌설화에 나타난 여성 전형들을 통하여, 조선 후기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살펴보고, 여성 전형들 속에서 발견되는 이데올로기의 내적 부정합성을 다시 읽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론에서는 섹슈얼리티의 사회적 모델에 기초하여, 각항에 해당되는 전형들이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전형화되며, 그러한 이야기들을 다시 읽었을 때 발견할 수 있는 모순의 지점들을 찾아보았다. 문헌설화에 나타난 여성상들을 있는 그대로 다루기보다는 그러한 이미지를 생산해내는 근본적인 가치론, 그러한 가치론과 이미지와의 관계, 각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다. 각 항에 대응되는 여성의 전형들은 다음과 같다. 결혼관계를 대표하는 여성전형에는 열녀가 있다. 이와 반대편에 있는 간통의 항에는 음녀를 넣을 수 있다. 비결혼관계를 대표하는 여성전형은 열녀와는 반대로 오로지 성적인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여성들을 들 수 있다. 생존의 전략으로 자신의 성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던 첩이나 기녀들이 이에 해당된다. 비간통을 대표하는 여성은 첩이나 기녀와는 반대로 성적으로 소외된 여성들을 들 수 있다. 열녀처럼 무성적 존재이지만 이상화되지 않은 존재들이다. 이들은 남성처럼 사납거나, 그들의 잠재된 성적 욕망을 부녀자에게 금지된 질투로 표현하는 여성들이다. 이러한 전형들을 섹슈얼리티에 대한 사회적 모델에 배치했을 때, 각 전형들의 관계를 통해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통제되고 이용되었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섹슈얼리티에 대한 개인적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모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전형의 수용과 재생산, 탈전형적 여성 이미지에 대한 분석 등을 위한 시론적 작업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stereotypes of women in the short narratives in the late Chosun period. It is for the quest of the sexuality of women and toward the rereading ideological discordance in it. In the late Choson society, the control of sexuality was reinforeced more strictly than before ever. At that times, the various women stereotypes worked as ideological tool on everyday life. The social model of the sexuality of women explain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 ideology of the chastity. Each term on the semiotic square that articulate the sexuality of women by the prescription and the prohibition can be corresponded to each stereotype of women. There are the stereotypes of chaste woman, unchaste woman, jeolous wife and prostitute woman on that model. Which structure makes these stereotyes, how they works together, and how they imaged and falsfied in the discourse by the Subject of patriachal system are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섹슈얼리티의 사회적 모델
3. 조선 후기의 여성 전형
4. 결론 : 충돌하는 가치들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예영(Yoon, Yae-Young). (2005).조선 후기 문헌 설화의 여성 전형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 , 305-346

MLA

윤예영(Yoon, Yae-Young). "조선 후기 문헌 설화의 여성 전형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2005): 305-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