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사민요의 텍스트 구성과 문화적 기억

이용수 197

영문명
Text composition and Cultural memory of The Folk Song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이재영(Lee, Jae-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2권, 347~372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시집살이 노래>의 텍스트 구성 원리와 문화적 기억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구성 원리의 두 축인 유사성과 인접성의 원리를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텍스트 결속구조의 강화를 위해 일련의 반복적 양상들로 이루어진 <시집살이노래>는 회기법, 병행구문, 환언 등의 텍스트 미시적 특징들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텍스트를 구성하는 원리 중 인접성의 원리는 텍스트의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연결시킴으로써 의미의 계기적 연속을 진행시킨다. 텍스트를 구성하는 책략으로서의 인접성은 새로운 의미가 인접적으로 부가되면서 계기적 전개의 양상을 보이는 특성을 보인다. 이와 같이 시집살이 노래의 형식적 반복 자질들은 당시 시집살이를 겪는 부녀자들의 희로애락 감정들을 적절히 싣고 있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렇게 구성된 텍스트 결속구조라는 것은 기억의 어휘에 이르게 될 때, ‘잊혀지지 않는(haunting)’ 구조로 쓰이게 된다. 이때 구비 전승으로 사용되는 결속구조는 구연되는 민요에서 기억을 돕는 구조로서 기능하게 되며, 그런 기능은 그녀들의 고통과 노동의 질곡을 노래 부르는 순간에나마 털어놓음으로써 자신의 삶을 기억하게 한다. 하지만 동일한 <시집살이 노래> 텍스트가 시대, 지역, 집단 등이라는 경계를 넘어서 보편적인 향유에까지는 지극히 제한적이고 한계점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생명력을 이어온 데는 기억하기 좋은 서사적 성격의 구조와 심리적ㆍ정서적으로 공유 가능한 기억술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양한 기억들이 공존하는 텍스트는 그 재생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시, 공간을 초월한 정서적 교류를 제공 한다. 이는 시집살이를 하는 여성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생성시키게 하여, 그러한 기억들을 공유하는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 한다. 이때의 기억들은 ‘문화적 기억’이 되고, 그걸 전달하는데 돕는 구조는 ‘문화적 기억 장소’로 남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rinciple of text composition and cultural memory in the folk song . So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is the principles of similarity and continuity in the two axis of language composition. The folk song organized by the text micro figures such as recurrence, parallelism, paraphrase. It is a textual coherent to construct a set of repetitional aspect. These figures, at that times, had a function to record feelings of joy and anger in the women led a hard married life. When the textual coherent get to the point of memory words, it is to be haunting structure. At this time, the coherent to be handed down orally act as a structure give support to memory in the folk song. That sort of structure, by performing a pain and labor of the women, keep in memory a life of hers. But the folk song is a limit to a universal enjoyment beyond a boundary of age, area, group. Nevertheless the durability of this text can be had a mnemonic which hold in common psychologicallyㆍemotionally, and a structure give support to memory. In this sense, The women, to participate text reproduction, go through emotional exchange to rise above time and space. Besides, they are create unique culture themselves, and constitute cultural community to common similar memories. At this point, These memory is 'cultural memory', and then the structure give support to memory is 'a place of cultural memory'.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시집살이 노래>의 텍스트 구성 방식
3. 반복적 형식으로서의 기억술(mnemonic)과 문화적 기억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영(Lee, Jae-young). (2005).서사민요의 텍스트 구성과 문화적 기억.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 , 347-372

MLA

이재영(Lee, Jae-young). "서사민요의 텍스트 구성과 문화적 기억."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2.(2005): 347-3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