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시조에 나타난 '바다'의 심상 고

이용수 469

영문명
A study on images of 'sea' in Korean traditional sijo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변승구(Byun, Seung-goo)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6권, 247~276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그동안 시조문학에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바다'를 작품에 수용된 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의미를 밝혀 보았다. 먼저 시조에 나타난 '바다'는 총 156수로 단시조가 119수이고 장시조가 37수가 확인된다. 또한 이러한 시조의 작자는 52명에 77수이다. 한편 작자층은 왕에서부터 문무를 비롯하여 가객과 기생에 이르기까지 전 계층에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시조에 나타난 '바다' 심상의 수용양상은 내적으로 바다가 갖고 있는 '속성의 심상'과 '깊음의 심상', 그리고 '유구한 심상'을 수용하여 작자의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바다가 갖고 있는 속성이 오랜 시간적 의미로 전의 또는 인식되어 수용된 '관용의 심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외적 심상는 바다의 표면적인 모습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심상을 수용한 것으로 작자의 눈에 비친 '관조의 심상'과 '넓음과 푸름의 심상'이 수용되었다. 한편 바다라는 공간적 심상의 수용은 '지상과 천상', 그리고 '현실과 이상세계' 등의 경계적 심상으로 수용되었다. 끝으로 시조에 나타난 '바다'의 심상이 갖는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먼저 바다의 내ㆍ외적 심상을 다양하게 수용하였다는 점과 문학적 상상력을 극대화시켰다는 점, 그리고 바다가 문학작품의 내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처럼 시조에 나타난 '바다'의 심상은 작자의 시상 전개에 적지 않은 역할과 의미로 수용되었다. 이는 서사문학에서만 심도 있게 다루어지던 바다가 단형의 시조에서도 중요한 소재나 제재, 그리고 내적 구조의 심상으로 수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paper examined 'sea' which has been disregarded in sijo literature focused on images reflected in works and clarified the meanings. First, 'sea' in sijo is involved with total 156 pieces and it is confirmed that short sijo is 119 pieces and long sijo is 37 pieces. In addition, writers of these sijo are 52 and 77 pieces. Meanwhile, we can see that for the writer base, the all the classes are involved from kings and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o poets and gisaeng. Next, for acceptance features of images of 'sea' in sijo, writers' poetic concepts are developed accepting 'images of properties', 'images of depth', and ' immemorial images' sea has. Besides, 'images of tolerance' was also found that properties sea has is transformed or recognized into meanings of long time to be accepted. External images are what images are accepted which can see through surface looks of sea and 'images of contemplation' and 'images of broadness and blueness' were accepted. Meanwhile, acceptance of spatial images was acceptance with boundary images such as 'the earth and heaven', and 'the reality and ideal world' etc. Finally, we examined the roles and meanings of images of 'sea' in sijo and first of all, it is indicated that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of sea were accepted diversely and literary imagination was maximized and sea is forming internal structure of literary works etc. As mentioned above, images of 'sea' in sijo were employed with roles and meanings serving considerably for development of authors' poetic concepts, which indicates that sea treated in depth in narrative literature was also accepted in sijo of short forms for significant materials, themes, and images of internal structure.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고시조에 나타난 '바다' 자료 개관
3. '바다' 심상의 수용 양상
4. 시조에 나타난 바다의 역할과 의미
5.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승구(Byun, Seung-goo). (2012).고시조에 나타난 '바다'의 심상 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6 , 247-276

MLA

변승구(Byun, Seung-goo). "고시조에 나타난 '바다'의 심상 고."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6.(2012): 247-2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