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소설 속 도적들의 근거지로서의 해도 공간 연구

이용수 773

영문명
The Study on the a Sea Island Space as Bandits Base in Classical-Novels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서혜은(Seo, Hye-e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6권, 105~142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홍길동전><허생전><김학공전><서해무릉기>를 대상으로 하여 고전소설 속 도적들의 근거지로서의 해도 공간의 형상화 방식과 그 기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홍길동전><허생전><김학공전><서해무릉기>에서 해도 공간이 도적들의 근거지로 설정될 수 있었던 것은 조선 후기 유민의 입도 현상과 입도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 그리고 해도 지역의 풍요로운 자연 환경과 경제적 기반을 배경으로 하는데,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작품에도 반영되어 있다. <홍길동전><허생전><김학공전><서해무릉기>의 해도 공간은 공통적으로 도적들의 근거지로 설정되어 있지만, 각 작품의 지향하는 바가 다르기에 작품에 설정된 해도 공간의 형상화 방식 또한 변별된다. <홍길동전>의 율도국은 조선왕에 대한 대항의 공간으로, <허생전>의 공도는 조선의 폐쇄적 유통 구조를 입증하는 공간으로, <김학공전>과 <서해무릉기>의 계도섬과 서해무릉은 각각 신분상승과 애정성취에 대한 도적들의 욕망이 좌절되는 공간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또한 <홍길동전>과 <허생전>의 해도 공간은 국외로, <김학공전>과 <서해무릉기>의 해도 공간은 국내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작품에서 수행하는 해도 공간의 기능과 연관된 것이다. <홍길동전>과 <허생전>의 율도국과 공도는 집권층의 특권 의식과 조선의 통치 체제를 비판하며, <김학공전>의 계도섬은 저항 세력을 비판하며 신분제도로 대표되는 중세 봉건 지배 질서를 옹호하고 <서해무릉기>의 서해무릉은 무뢰한과 같은 조선 후기 부유ㆍ부랑 집단의 정착 의지를 반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n the sea island space as bandits base in . What sea island space was created as bandits base in these novels are as follows. First wandering people go in to sea island and they were negatively perceived to people. Second natural environment of sea island was plenteous. So economic base of sea island was prepared than inland. Because these vintage background was sea island space was created as bandits base in . But these novels creative manner of sea island space was different. The sea island space of is Je-Do island and Yul- Do-Guk. These sea island space are created oppositive space against king of Jo-Seon Dynasty. Gong-Do of is created to prove cleidoic distribution structure of Jo-Seon Dynasty. Ge-Do island of and Seo-Hae-Mu-Reung of are created to affection conflict and solution. The sea island space of are created overseas and sea island space of are created internal. The sea island space of are responsible for criticize conscious of the privilege of hierarchy and ruling system of Jo-Seon Dynasty. And the sea island space of is to act as criticize away from male and female servants and protect medieval feudalism like caste system. The sea island space of is reflected settlement will of floatingㆍvagrancy-group as rogue.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고전소설 속 도적들의 근거지로서 해도 공간의 설정 배경
3. 고전소설 속 도적들의 근거지로서 해도 공간의 형상화 방식
4. 고전소설 속 도적들의 근거지로 형상화된 해도 공간의 기능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혜은(Seo, Hye-eun). (2012).고전소설 속 도적들의 근거지로서의 해도 공간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6 , 105-142

MLA

서혜은(Seo, Hye-eun). "고전소설 속 도적들의 근거지로서의 해도 공간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6.(2012): 105-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