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寓菴 洪彦忠의 시에 나타난 巨濟島의 표상과 유배체험의 형상화 양상

이용수 447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Geojedo(巨濟島) and Representation of Exile in the Poems of WooAhm(寓菴) Hong Eun Chung(洪彦忠)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김보경(Kim, Bo-ky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6권, 175~212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寓菴 洪彦忠(1473~1508)은 甲子士禍에 연루되어 巨濟島에서 약 2년 동안 유배생활을 했다. 이때 그가 지은 시는 60제 안팎(총 110여 수)으로 전체 작품의 1/4에 해당한다. 본고는 이들 시에 나타난 거제도의 표상과 유배체험의 형상화 양상을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째는 감옥으로서의 섬-囚人의 형상과 단절의 심상들이다. 갑자사화는 부친 洪貴達이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부친은 처형되고 홍언충 형제들은 모두 유배되었다. 그의 시에 감옥으로서의 유배지, 囚人 형상이 상대적인 강조점을 가지고 나타나는 것은, 絶島에 억류되어 있는 객관적 현실, 심리적 폐소감과 함께 가문의 몰락이라는 절박한 상황을 반영한다. 한편 감옥으로서의 표상, 수인 형상은 단절의 심상들을 동반하는데, 분노나 원망보다는 울울감과 자탄의 정조를 띠는 경우가 많다. 둘째는 문화공간으로서의 섬―詩ㆍ友를 통한 위무와 자기 계발이다. 그의 시는 대부분 次韻詩ㆍ寄贈詩 같은 관계 지향성의 시가 많다. 이것은 주변에 비슷한 처지의 동료 유배객들이 있었던 덕분이다. 특히 李荇 등이 거제도로 옮겨온 뒤에 거제도는 문화공간으로서의 표상을 본격화한다. 거제도는 유배객은 물론이고 외부 지식인의 방문, 거제도 지식인의 참여등 文化交涉의 공간으로서도 구실했다. 이 속에서 그는 유배의 괴로움을 위로 받고 문학적으로 교감하면서 자기 계발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셋째는 길로서의 섬-성찰과 順命 그리고 진실의 발견이다. 거제도에서의 생활은 자신과 세상을 진지하게 성찰하면서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그는 유배의 일상에서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성찰의 주제를 찾아내곤 했다. 그리고 자신이 맞닥뜨린 상황에 대해 거부ㆍ외면이 아닌 順容을 통해 안으로 누그러뜨리는 방향으로 갔다. 부친의 호 '虛白'처럼 주어진 상황을 하늘의 뜻으로 받아들이고, 바깥을 경영하기보다 내 '빈 방[虛室]'의 진실을 발견하는 일이 그의 궁극적 선택이었다. 홍언충은 해배 후 세상에 나가지 않았다. 병약함만이 이유가 아니었다. 거제도에서의 유배체험을 어떻게 수용하고 생의 어떠한 자료로 삼았는가, 이것이 이후 삶의 행로를 내었다. 그에게 거제도/유배생활/시 짓기는 곧 '빈 방의 진실을 찾아가는 길'이었으며, 이것은 해배 후의 삶으로 분명한 결론이 지어졌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Involved in the Gabja Annihilation, WooAhm Hong Eun Chung(1473-1508) was exiled to Geojedo for two years during which he created around 60je(題)(approximately 110pieces) that composed one quarter of his entire oeuvre.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Geojedo and Hong Eun Chung's experience of exile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sland as a prison-the figure of prisoner and sense of separation. During the Gabja Annihilation, his father Hong Gui Dal was executed and his brothers were exiled to Geojedo. What the distinctive in Hong's poems are the reality of detainment in an isolated island, claustrophobic sense and the demise of family. The representation of prison and the figure of prisoner are accompanied with the sense of separation, in which depression and lamentation is more dominant than anger or frustration. Second, island as a space of culture-the consolation and self-development through poetry and friends. Most of Hong's works were involved with relationship as he was surrounded by many colleagues who had the same fate in Geojedo. Geojedo, particularly after a group of literati including Lee Haeng, became a locus of cultureand cultural exchange as the exiled, intellectual in and outside of Geojedo frequently visited and participated in the intellectual activities in the island. Consoled under this circumstance, Hong could communicate and developed himself in literature. Third, island as a passage-contemplation, acceptance of his fate and discovery of truth. During the time he spent in Geojedo, Hong contemplate on the world and himself to find the truth. He found the topics as to who he was and how he should live the rest of life in the everyday life of exile and as a result he accepted the given situation and turned more introspective. As his father's pseudonym, HuhBaek(虛白), describes, he accepted what was given to him and chose to find the truth of "huhshil(虛室)" rather than manage public affairs. Hong secluded himself after returning from the exile not just because of the illness. The way he accepted his exiled life in Geojedo determined the rest of his life. His exiled life, Geojedo and poetry led to "find the way to the truth of huhshil," and determined the life after the exile.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부친 홍귀달, 갑자사화, 그리고 유배길
3. 거제도의 표상과 유배체험의 형상화 양상
4. 나오는 말-'빈 방'의 진실을 찾아가는 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경(Kim, Bo-kyeong). (2012).寓菴 洪彦忠의 시에 나타난 巨濟島의 표상과 유배체험의 형상화 양상.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6 , 175-212

MLA

김보경(Kim, Bo-kyeong). "寓菴 洪彦忠의 시에 나타난 巨濟島의 표상과 유배체험의 형상화 양상."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6.(2012): 175-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