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설 생활노인의 거주만족도 수준 및 예측요인

이용수 692

영문명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of the Aged in Nursing Facilities and Affective Factor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황인옥(In-ok Hwang) 윤경아(Kyeong-a Yoon) 김은경(Eun-ky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7권 4호, 847~86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원 및 전문요양원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의 거주만족도 수준과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5개소와 노인전문요양시설 6개소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노인 140명이다. 2006년 9월 현재 대상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 833명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이중 MMSE-K를 이용한 1차 조사에서 24점 이상인 인지기능이 정상인 자만을 최종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응답노인의 거주만족도 수준은 5점 만점에 3.69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거주만족도 수준은 직원만족도가 5점 만점에 3.91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식사만족도(3.85), 생활실 만족도(3.82), 시설설비 만족도(3.80), 정보제공 만족도(3.70), 사회교류활동 만족도(3.13)의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개인요인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이, 직원요인은 직원과의 관계 및 직원의 지지가, 시설요인은 보건의료서비스가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원 및 전문요양원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거주만족도 향상 방안과 시설관리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n upgraded suggestion to improve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people.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level of residential satisfaction will be examined and variations that impact measuring elements for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ill be theoretically reassessed.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ve nursing facilities and 6 skilled nursing facilities in a metropolitan area. Using MMSE-K method, 140 seniors whose points were over 24, considered cognitively normal.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determined using RSQ developed by Boldy(2001). Also, K-ADL was used to examine ADL. To see the subjects' depression level, 'K-GDS was used. Zimet, at el. (1988)'s device was also used to see the care providers' suppor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lderly people's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categorized as personal, care provider, and facility for the analysis. The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3.69 on a 5-point scale. Among the affective factors that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ADL, depress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care providers and their support, and health care service. This study was done to give suggestions to improv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aged and to serve as a basis for policy strategies by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nursing faciliti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인옥(In-ok Hwang),윤경아(Kyeong-a Yoon),김은경(Eun-kyung Kim). (2007).시설 생활노인의 거주만족도 수준 및 예측요인. 한국노년학, 27 (4), 847-860

MLA

황인옥(In-ok Hwang),윤경아(Kyeong-a Yoon),김은경(Eun-kyung Kim). "시설 생활노인의 거주만족도 수준 및 예측요인." 한국노년학, 27.4(2007): 847-8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