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준ㆍ고령층과 청ㆍ장년층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 영향요인 비교분석

이용수 376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between the Aged and Non-Aged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송인한(Song, In Han) 박장호(Park, Jang-Ho) 김리자(Kim, Lija)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3권 1호, 183~197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준ㆍ고령층과 청ㆍ장년층 자활사업 참여자 집단 간에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연령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국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중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368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Chi-square 검정과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준ㆍ고령층과 청ㆍ장년층 자활사업 참여자 두 집단에서 각각 다중회귀모델을 통해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청ㆍ장년층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구직희망이 유의하게 발견되었으며, 준ㆍ고령층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구직희망, 주관적 건강, 참여기간이 유의하게 나타나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청ㆍ장년층과 준ㆍ고령층 자활사업 참여자 집단 모두에서 여성과 구직희망이 높은 참여자에게서 높은 자활의지가 발견되었으며, 청ㆍ장년층 참여자에게서는 다른 영향요인이 없는 반면 준ㆍ고령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높을수록, 참여기간이 짧을수록 자활의지가 증가하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근거로 자활의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및 미시적 접근에 있어 성별 특성을 고려하고 구직희망을 고취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설계가 필요하고, 연령 특성을 고려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단기적 접근으로 설계된 준ㆍ고령층 자활사업 및 일자리 참여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xamine the age difference in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between the aged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and non-aged participants,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from 368 labor program participants from the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nation-wide in Korea.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ces in major factors by age groups,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between the aged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 group and non-aged participant group.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aged participants, gender, employment hope, self-rated health, and participation perio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while gender and employment hop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in the non-aged participants. While non-aged's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was found to be higher in female and higher employment hope, aged's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y felt higher self-rated health and participated the program in more short term besides female and higher employment hop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ge factors and to design programs to increase employment hope in planning policy and micro-level intervention to improve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short-term self-sufficiency and employment programs for the aged which are linked with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promoting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for the ag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인한(Song, In Han),박장호(Park, Jang-Ho),김리자(Kim, Lija). (2013).준ㆍ고령층과 청ㆍ장년층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노년학, 33 (1), 183-197

MLA

송인한(Song, In Han),박장호(Park, Jang-Ho),김리자(Kim, Lija). "준ㆍ고령층과 청ㆍ장년층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노년학, 33.1(2013): 183-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