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약용의 악론(樂論)에 대한 철학적 고찰

이용수 482

영문명
A Philosophical Study of Cheong Yagyong's Thought of Music : In Related to His View of Literature, the Arts, and Autonomy of Music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김우형(Kim, Woo-hyung)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0輯, 287~31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악론을 주로 음악철학 혹은 음악미학적 관점에서 조명한 글이다. 정약용의 문예관은 송대 문도론의 세 입장 가운데 문학과 예술의 자율성을 부정하는 정이의 ‘작문해도론’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음악에 대한 그의 철학적 견해도 강한 도덕주의와 더불어 음악을 도덕수양과 사회적 교화의 수단으로 간주하는 도구주의적 경향을 나타낸다. 그에 있어 ‘미’는 ‘선’과 다른 영역이 아니며, 반드시 도덕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에 따라 규정되어야만 하는 영역이다. 그러나 정약용은 선험적인 도덕성(morality)이 마음에 내재해 있다고 보지 않기 때문에, 그의 도덕주의는 실질적으로 정이와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고악의 복원을 위한 시도로서 그의 악률론에 이르면, 그의 음악사상은 음악에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왜냐하면 고악의 복원을 목표로 하는 그의 악률론은 당시 아악에 대한 비판과 대안의 모색이라는 성격을 띠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속악(향악)으로 하여금 아악의 권위와 굴레를 벗어나서 독자적으로 발전하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주희의 관점과 노선을 따랐기 때문에 야기된 것이기 때문에, 결국 정약용은 주희의 악론의 연장선상에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asan 茶山 Cheong Yagyong 丁若鏞 (1762~1836)'s thought of music from the philosophical or aesthetic point of view. Cheong's view of literature and the arts belongs to Cheng I 程頤 's position that denies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the arts. His philosophical view of music also shows strong moralism and instrumentalism that regards music as a measure for moral cultivation and social enlightenment. For Cheong, “beauty” is not different from “good” and has to be regulated by moral and rational judgement. However, since he doesn't think that a priori morality is inherent in mind, his moralism has contained some differences with Cheng I. Moreover, in the case of Cheong's music theory of pitches and melodies as a venture for the restoration of ancient music, his thought played a role of catalyst in promoting the autonomy of music. This is because his music theory had the implication of a critique and alternative of court music (Aak, 雅樂), which led to autonomous development of folk music (Hyangak, 鄕樂). This effect was ultimately brought about by his following Zhu Xi 朱熹 whose perspective admitted folk music to some extent because of the im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ancient music. In conclusion, Cheong's philosophy of music needs to be grasped in the extension of Zhu Xi and Cai Yuanding 蔡元定 's thought of music.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정약용의 문예관의 근본 입장: 작문해도(作文害道)론
Ⅲ. 도덕주의와 도구주의적 음악철학
Ⅳ. 고악(古樂) 복원의 이념과 음악의 자율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형(Kim, Woo-hyung). (2013).정약용의 악론(樂論)에 대한 철학적 고찰. 동양철학, 40 , 287-310

MLA

김우형(Kim, Woo-hyung). "정약용의 악론(樂論)에 대한 철학적 고찰." 동양철학, 40.(2013): 287-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