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異學 비판을 통해 본 ‘退溪心學’

이용수 245

영문명
‘Toegaesimhak’ (退溪心學)through criticism of Yihak(異學)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추제협(Choo, Je-Hyeop)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0輯, 217~247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상사에서 정통과 異學(또는 異端)에 대한 논의는 학문적 정당성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에 해당하면서도 자칫 이데올로기의 산물로 비춰질 수 있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이황의 이학관 또한 이러한 혐의에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럼에도 필자는 이황의 이학관을 통해 그가 추구하고자 한 正統學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밝힐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기존의 ‘퇴계심학’의 논의와 관련하여 이러한 정통학이 과연 ‘퇴계심학’으로 정초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도 관련이 있다. 이황의 이학 비판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첫째, 노장학과 서경덕, 나흠순의 철학을 리기론의 관점에서 모두 ‘認氣爲理’의 폐단이 있음을, 둘째, 불교와 양명학을 공부론의 관점에서 모두 ‘頓悟’의 폐단이 있음을 지적했다. 그 과정에서 그는 전자에서 ‘尊理’를, 후자에서 尊德性과 道問學의 병존을 전제로 하되 靜坐體認說을 통한 존덕성의 마음공부를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황 철학의 특징은 리가 발현된 본체로서의 마음에 있으며, 이것이 리발과 경공부를 중심으로 한 마음공부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고 했다. 이제 이러한 특징이 ‘퇴계심학’으로 정초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인데, 심학의 용어를 제한하지 않고 실천적 주자학의 일반적 명칭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이황 철학은 주자리학과는 다른 퇴계심학으로 명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상에서 양명심학이나 퇴계심학은 모두 주자학이라는 하나의 출발점에서 인간론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길을 걸어간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주자학을 새로운 체계로 구성했는가, 아니면 기존의 체계를 재구성했는가에서 양명학은 전자의 급진적인 방법을, 퇴계학은 후자의 온건한 방법을 선택했다.

영문 초록

In the history of thoughts, an argument between authentic study and heresy study(異學) can be shown as the result of ideology even it is necessary for legitimacy of study. Yi Hwang, who this essay trying to argue, his idea of Yihak cannot be free with these suspicion. Although, I though finding character of Yi Hwang`s authentic study(正統學) is possible to look through his idea of Yihak. So I tried to look at whether authentic study can define as ‘Toegaesimhak’ or not with considering previous arguments about ‘Toegaesimhak’. I figured out Yi Hwang`s criticism of Yihak as two parts. First, Ingiwiri`s negative effects of Taoism, Seo Gyeongdeok, and Na Heumsun`s philosophy on perspective of Ligi debate. Second, on the theory of study, trying to point out negative effects of Sudden Enlightenment from both Buddhism and Yookwang study. In this process, I found he seriously considered about Jonducksung`s mind-study through Jeongjwachein(靜坐體認) debate by giving positions of ‘Jon-Yi’(尊理) for the former and coexistence of Jonduksung(尊德性) and Domoonhak`s(道問學) for the latter. Through these, we can figure out character of his idea is Li which situated in mind as manifested noumenon and it appears through mind study in priority of Libal and Gyung study. Now the matter is, whether these character can be identified as ‘Toegaesimhak’ or not. I think his philosophy can identified as Toegaesimhak when if we can accept Simhak as general title of practical Chu-tzu study. In this regard, we can say Both Yangmingsimhak and Toegaesimhak were started with Neo-Confucian mainly with human theory but gone separate way. Thus, whether forming Chu-tzu study as new structure, or reconstitute previous system, Yangming study choose radical way of the former, and Toegae study choose moderate way of the latter.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認氣爲理’의 비판과 ‘尊理’의 강조
Ⅲ. ‘頓悟’의 비판과 尊德性工夫 중시
Ⅳ. 나오는 말: 이황의 異學 비판과 ‘退溪心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추제협(Choo, Je-Hyeop). (2013).異學 비판을 통해 본 ‘退溪心學’. 동양철학, 40 , 217-247

MLA

추제협(Choo, Je-Hyeop). "異學 비판을 통해 본 ‘退溪心學’." 동양철학, 40.(2013): 217-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