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이용수 3725

영문명
A Study on Analyse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ducation Programs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성도(Yi, Sung Do) 최하영(Choi, Ha Young) 조인호(Cho, In Ho) 심효진(Shim, Hyo Jin) 김규연(Kim, Kyu Yeo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7券 1號, 315~3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사회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미술관 교육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미술관 교육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 지표나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또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개설적인 내용에 그치고 있거나, 미술관의 개별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 분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다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의 기준이 되기는 어렵다 미술관이 갖는 특성과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으로 미루어 볼 때, 표준화된 형태의 분석틀을 제 시하는 것은 어려 운일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프로그램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하여 개발이나 분석에 필요한 기준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 관련 문헌연구 와 현장연구를 토대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분석표를 개발하여, 국내 유일의 국립미 술관으로서 미술관 교육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미술관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조정가능성과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 분석표가 모든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의 표준모델을 제시 하기 어렵다. 하더라도, 표준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새로운 분석 모델로서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담당자들 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정 • 보완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미술관 교육의 연구자나 현장에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s growing need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oday. it has bee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museum education. However. current museum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educational program, and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or program analyses Also, previous studies on analyzing museum education programs has been introductory and just analyzing contents of individual program. Although it is not easy to present evaluation tools to apply all museum education programs as considering a variety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it is worthy to develop evaluation tools in order to analyze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10 museum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valuation tool driv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and field research in order to evaluate education programs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spite that presented tool in this study would not be a standard model in order to evaluate all museum education programs. the present study points ou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standard evaluation tools. and presents the tool as a new tool for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worthy to provide factors to consider when staff develop and modify educational programs.

목차

<요야>
Ⅰ. 서론
Ⅱ. 어린이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내용
Ⅲ. 어린이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의 실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도(Yi, Sung Do),최하영(Choi, Ha Young),조인호(Cho, In Ho),심효진(Shim, Hyo Jin),김규연(Kim, Kyu Yeon). (2013).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미술교육논총, 27 (1), 315-344

MLA

이성도(Yi, Sung Do),최하영(Choi, Ha Young),조인호(Cho, In Ho),심효진(Shim, Hyo Jin),김규연(Kim, Kyu Yeon).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미술교육논총, 27.1(2013): 315-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